김동연 경기지사 대리인인 고영인 전 경기도 경제부지사는 이날 입장문을 내고 “이번 발표는 노무현, 문재인 대통령을 만들어낸 민주당의 자랑스러운 국민경선 원칙을 파괴하지 말아달라는 요구를 헌신짝 집어던지듯 내팽개친 것이나 다름없다”고 비판했다. 이어 “탄핵의 광장에서 형성된 응원봉 연대의 힘을 국민선거인단 경선으로 모아 정권교체를 이루자는 국민과 민주진영의 염원을 외면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
김 지사 측은 “당규위원회가 특정 후보만을 위한 위원회일 수는 없을 것”이라며 “‘누가 더 유리하겠다’라는 것이 빤히 보이는 룰은 공정한 룰이 아니다”고 밝혔다.
경선 출마를 선언한 김두관 전 의원 측도 입장문을 내고 “경선의 당사자인 후보측과 경선룰에 대한 협의조차 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결정했다”며 “서면으로 입장 전달을 요구한 것 외에는 어떤 논의나 소통도 없었다”고 했다.
특별당규위는 이날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당원 토론회와 국회에서 전체회의를 열고 ‘당원 50%, 일반여론조사 50%’의 경선룰을 잠정 확정했다. 민주당은 지난 두 차례 대선 때처럼 권리당원과 일반국민을 모두 선거인단으로 포함해 투표를 진행하는 국민경선과 국민참여경선을 놓고 논의해 오다 이같이 결정했다. 비명계 주자들은 이재명 예비후보 지지세가 높은 당원 비중을 따로 두지 않는 국민경선 방식을 요구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