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별로 서울은 같은 기간 1만7589호를 기록해 1년 전 대비 29.8%, 경기도는 4만4263호로 30.9% 줄어 가장 큰 감소세를 보였다. 지방 역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8.5% 줄어든 11만6916호를 나타냈다. 5년 평균치 대비로 보더라도 서울, 인천, 경기를 포함한 수도권은 35.4% 줄었고 지방 역시 1.9% 감소했다. 6월 한 달만 놓고 보면 인허가 실적 감소폭은 더 커진다. 서울은 전년 대비 79.1%로 80% 가까이 줄었고 경기는 62.3% 감소했다.
건축허가 실적 역시 지난해 상반기 이후 감소세다. 올 상반기 건축허가 건수는 전국 7만7501호로 1년 전 대비 26.6%, 5개년 평균치 대비 34.2% 줄었다. 연면적 기준으로도 건축허가 실적은 전년 대비 23% 줄어 주택인허가 감소와 더불어 부동산 공급 시장 위축을 부추기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흐름이 건설 공급 시장에 단기적인 위축을 가져올 수 있다고 진단했다. 권주안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인허가 감소는 공급시장 위축으로 이어져 건설시장 침체 상황이 지속하고 있다”며 “금리 등 자금조달 측면에서도 다양한 해법을 제공하지 않으면 공급시장 침체는 더 악화하고 공급 기반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전국적으로 아파트 등 주택 미분양 물량이 줄고 있지만 사업 중단 등에 따른 착시효과가 아닌지 살펴야 한단 지적도 나온다. 가장 수요가 많다는 서울의 아파트 미분양 물량만 놓고 봐도 크게 줄고 있는 모습은 아니다. 아파트 실거래가정보제공업체 ‘아실’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미분양 수는 1월 996호에서 2월 2099호로 폭증한 이후 3월 1084호로 줄긴 했지만 4월 1058호, 5월 1144호, 6월 1181호를 기록해 지속적으로 1000호 이상을 나타내고 있다.
지방 중소 건설사들의 폐업이 늘고 있는 것도 부정적이다.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이날 기준 올해 안에 폐업 신고를 한 종합공사업체의 공고는 358건으로 1년 전 대비 2배 가까이 늘었다. 전문건설업체의 폐업 공고도 1930건으로 집계됐다. 권 연구위원은 “건축수요는 경제성장에서 파생하므로 성장 안정세가 회복하지 않으면 공급시장은 단기 침체 상황으로 갈 수 밖에 없다”며 “민간부문의 위축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기 때문에 정부의 공급기반 위축 보완책은 일시적으로 수급 상황을 안정시킬 수 있으나 공급시장의 전반적인 위축을 완화하는 효과는 크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