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가 일본에 매긴 상호관세율은 24%다. 이시바 총리는 상호 관세 문제에 대해 “최종 결정은 트럼프 대통령밖에 할 수 없다”며 양국 정상간에 관세 문제에 대해 직접 교섭할 필요성을 언급했다.
그는 “(전화 협상을 위해) 서로 편한 시간을 찾을 것”이라면서 대미 투자를 위한 새로운 제안을 검토 중이란 점도 밝혔다. 그는 “조금씩 내놓는 식으로는 안 된다. 하나의 세트, 패키지로 만들어야 감동을 줄 수 있다”고 했다.
일본의 보복 관세 가능성도 일축했다. 그는 “모든 선택지는 있지만 폭언을 폭언으로 응수하는 방식은 생각하지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
한편, 이시바 총리는 지난 2월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 당시부터 일본의 관세조치 배제를 요청해왔지만 통하지 않은 상황이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 국제비상경제권한법(IEEPA)에 따른 권한을 발동해 기본 관세 10%와 최대 50% 상호 관세를 부과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트럼프 정부는 한국을 비롯한 세계 60여 국을 이른바 ‘최악의 침해국(worst offenders)’으로 분류하고, 기본관세 10%를 5일부터 집행한 뒤 9일부터 2단계로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효할 계획이다. 한국산 제품의 미국 관세율은 9일 0시 1분을 기해 10%에서 25%로 올라간다. 중국은 34%, 일본은 24%, 대만 32%, 인도 26%, EU(유럽연합) 20% 등으로 국가별 관세율이 산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