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면접절차는 7월 14일로 예정돼 있어 다음 달 이후가 돼야 새로운 기관장의 임기가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기정원장의 임기는 3년이다.
중진공은 지난 7일 후임 이사장 초빙 공고를 내고 16일 서류 접수를 마쳤다. 이달 초 이사회를 열고 임추위를 구성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기정원보다 발 빠르게 절차를 밟은 셈이다.
다만 몇 명의 후보가 지원했는지, 후보자가 누구인지 등은 알려지지 않았다. 추후 면접 일정 역시 공개하지 않았다. 중진공 이사장 임기도 3년이다.
공공기관 기관장 임추위는 후보자를 받은 이후 후보자에 대한 서면 검토, 면접 등을 실시한다. 이후 3배수나 5배수를 중기부 장관에게 추천한다. 중진공은 준정부기관이므로 장관이 추천받은 후보자 중 한 명을 대통령에게 제청하고 대통령이 임명한다. 기정원은 기타 공공기관이라 장관이 최종 낙점한다. 준정부기관은 차관급, 기타공공기관은 국·실장급이 기관장으로 오는 게 일반적이지만 이밖에 인사가 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중기부 산하기관들은 정부가 제도를 만들면 여기에 발맞춰 실질적인 업무를 집행해 나간다. 기정원은 중소기업의 연구·개발(R&D) 등을 지원하는 게 핵심 업무다. 올해는 △중소기업 R&D 지원 제도 개편 △딥테크 팁스 민간주도 지원 활성화 △스마트 공장 고도화 등이 핵심 미션이다. 중진공은 중소·벤처기업의 성장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정책자금, 수출마케팅, 인력양성, 지역산업혁신 등을 현장에서 밀착 지원한다.
그동안 기관장 인선이 늦어지면서 이같은 업무에 차질이 빚어지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왔다. 현직 기관장이 업무를 지속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사업이나 기관 운영 방향을 설정하기보다 현재 업무를 관리하는 수준에서 그칠 수밖에 없어서다. 하지만 본격적인 인선 절차에 나섬에 따라 이같은 우려도 불식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 관계자는 “산하기관은 정부의 정책을 실질적으로 집행하므로 정책적 전문성을 지닌 기관장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이미 올해 사업은 정부의 큰 틀이 정해져 있지만, 차기 기관장들이 그 안에서 추진력과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