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단장은 “(당선인은) 대통령이 직접 장관들하고 소통하고 청와대 비서진을 슬림하게 만드는 정치 구조를 생각했는데 이게 물리적 공간과도 연관이 돼 있다”면서 “이런저런 이유로 청와대를 좀 옮기고 이 구조를 소통에 적합한 컴팩트한 구조로 바꿔야되는 게 아닌가라는 문제 인식에서 출발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청와대 집무실 이전이 예상보다 많은 비용과 시간이 들 것으로 예상되면서 논란이 일어난 상황이다. 경호 문제도 있어 용산에 있는 국방부 청사가 유력한 청와대 집무실 후보로 지목됐다.
김 단장은 “국방부 청사라고 하는 것은 국방부가 쓰고 있으니까 청사가 된 것”이라면서 “국방부 청사로 들어가 문제가 된다는 인식은 어떤 문제를 만들기 위한 문제의 관점”이라고 말했다.
이어 “대한민국 정책의 핵심인 청와대가 어떤 공간적 위치 구조, 건물의 비효율성 등 모든 대통령들이 꿈꿔왔던 국민들과 소통에 유용한 어떤 공간 구조, 이런 점에 있어서 반드시 고쳐야 한다, 취임 전 결단을 내려야할 시점이다 이렇게 당선인이 보는 것 같다”고 부연했다.
다만 경호 등 구조적인 걸림돌 또한 크다는 점은 김 단장도 인정했다. 그는 “결국은 남북 분단 상황에서 북한이 대한민국에 대해서 군사적인 어떤 테러와 기습을 가한 적이 있지 않나”라면서 “이런 경험적인 요소 때문에 대통령에 대한 신변 경호가 굉장히 중요한 측면인데, 이 경호 자체가 대한민국의 정치나 대통령의 소통 구조를 본질적으로 왜곡시키는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김 단장은 “적정한 경호와 관련된 공간 위치 선정, 이런 고민이 있는 것 같다”면서 “건축가들이 언론 방송 인터뷰라든지 이런 부분들이 조금 있는데, 이런 분들은 현재 청와대가 민심 소통에는 그렇게 좋은 구조는 아니고, 용산도 좋은 선택이다, 혹은 고려할 필요가 있다 등이 전문가 의견”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