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서 산케이는 복수의 일본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지난 4일 캄보디아에서 열린 한일외교장관 회담에서 박진 외교부 장관이 화이트리스트 복귀와 함께 일본이 반도체 재료 3개 품목의 수출관리를 엄격히 한 것에 대해 해제를 요구했다”고 보도했다.
산케이는 이에 대해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이 ‘징용공 문제와 별개 문제다’라고 거부하며 ‘현금화에 이르면 심각한 상황이 되므로 피해야 한다’고 거듭 말했다”고 전했다.
일본은 한국 대법원의 미쓰비시중공업 등 강제동원 기업의 국내 자산 강제 매각 판단을 앞두고 불편한 기색을 내비치고 있다. 강제징용 피해자의 청구권 문제는 1965년 한일청구권협정으로 이미 해결됐다는 게 일본 정부의 입장이다.
일본은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 판결에 대한 보복조치로 2019년 7월 반도체·디스플레이 핵심 소재인 불화수소 등 3개 품목의 한국으로의 수출을 규제하고 8월에는 한국을 백색국가 명단에서 제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