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애초 윤 대통령은 광화문에 있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방문하려 했지만, 자택 주변 도로가 막혀 갈 수 없다는 판단에 따라 자택에 머물며 피해 상황을 챙긴 것으로 전해졌다. 한때 헬기를 이용해 침수 현장을 방문하는 방안도 고려됐지만, 안전 문제와 소음으로 인한 주민 피해 등이 예상된다는 경호처 보고를 받고 이를 취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김씨는 “집중 호우가 낮부터 예상되는데 상황점검회의를 미리 주재했어야 한다. 예상을 넘어서 대비를 못 했다면 상황발생 즉시 이동했어야 한다”며 “헬기로도 이동 못 한 이유가 ‘소음으로 주민에게 불편을 끼칠까 봐’라고 했다. 어떤 주민이 대통령의 비상재난 상황에 대해 불평을 한다는 말이냐”고 비난의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또 “(윤 대통령의) 자택 인근이 침수됐다는 보도가 있었다. 새벽에 그 인근을 가본 분들이 있다. 새벽에 침수가 안 됐다고 한다”며 “만약에 아예 침수돼서 이동조차 못 하게 됐다면 상황이 황당한 거다. 대통령이 이재민이 돼서 국가컨트롤 역할을 못한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김씨는 “청와대 이전할 때도 국가위기센터 어떻게 할 거냐고 하니 차량에서 할거라고 했다. 전국 어디서든 가능하다고 했다”며 “현재 용산지하에 국가위기센터가 있는지 모르겠다”고 의문을 드러냈다.
|
그런데 이같은 답변은 지난 2014년 세월호 사건 당시 박 전 대통령의 이른바 ‘사라진 7시간’ 공세와 관련해 김기춘 비서실장이 내놓은 “대통령이 계시는 곳이 바로 대통령 집무실”이라는 답변과 맞닿아 있어 논란에 휩싸였다.
김씨도 이를 언급하며 “박 전 대통령의 변명도 결국은 출근을 안 했다는 것이다”며 “윤 대통령 자택에 뭐가 있느냐. 전국 CCTV가 있나, 국가위기센터가 거기 있나, 없다. 부처 장관들이 테이블에 있었느냐. 그냥 집에서 혼자 전화한 것이. 그야말로 컨트롤 타워의 부재”라고 꼬집었다.
아울러 그는 “앞으로도 재난상황 시 집에서 지시할 거냐”면서 “대통령이 비를 막을 수 없다. 하지만 그로 인한 재난은 정부가 어떻게 신속하고 적절하게 대처하느냐에 에 따라서 완전히 달라질 수 있다. (대통령실은) 그야말로 웃기는 해명”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