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당 비율은 2012년 42.4%에서 2017년 41.2%로 해마다 낮아지는 추세를 보였다.
이후 지난 2018년(42.1%)과 2019년(42.0%)에는 42%대로 반등했으나, 코로나19 영향이 본격화한 2020년(39.6%)에는 40%대 선 마저 무너진 바 있다.
1년 이상 고용 유지율을 성별로 보면 남성(42.4%)이 여성(37.9%)보다 4.5%포인트(p) 높았다.
연령별로는 30대(46.0%)와 40대(43.8%)가 상대적으로 높고, 60세 이상(34.0%)과 29세 이하(37.4%)는 낮았다.
학력에 따른 고용 유지율 격차도 나타났다. 학력별로는 대졸 이상의 1년 이상 고용 유지율이 44.6%로 가장 높았고, 이어 전문대졸(41.7%), 고졸(38.1%), 중졸 이하(32.0%) 등 순이었다.
장사랑 고용정보원 책임연구원은 “고용이 취약한 집단일수록 고용이 위축되는 시기에 고용 유지율 감소 폭이 컸다”며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고용이 위축된 2020년에는 성별·연령별·학력별로 고용 유지율이 가장 취약한 집단에서 감소 폭이 가장 컸다”고 설명했다.
장 연구원은 “이는 고용 지표가 악화하는 시기에 고용 유지율이 낮은 집단을 지원할 세심한 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며 “추후 고용 유지율 변화 원인을 산업요인 등 노동 수요 측면에서 추가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