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의 횡령사건으로 해당은행 이용 고객들이 직접 피해를 본 것은 없다. 거래 상대방인 이란 기업에 계약보증금도 지급했다. 은행측은 횡령직원을 대상으로 구상권 청구소송을 통해 해당 금액을 보전한다는 계획이다. 우리은행이 운이 좋아 횡령금액 전액을 돌려받는다고 하더라도 문제가 해결되는 것일까.
더 큰 문제는 한 순간에 잃어버린 우리은행에 대한 신뢰회복이다. 금융은 기본적으로 신뢰가 있어야 거래가 일어날 수밖에 없다. 일면식도 없는 은행직원을 믿고 돈을 맡기는 이유도 해당 은행이 내 돈을 허투루 쓰거나 잘 보관해줄 것이라는 믿음을 전제로 하고 있다. 프랜시스 후쿠야마 하버드대 교수는 신뢰가 있는 곳에 돈이 모인다고 했다.
비단 우리은행 뿐만의 문제는 아니다. 은행권 전체적으로 봐도 횡령 사건은 매년 심심치 않게 발생하고 있다.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6~2021년까지 6년간 은행권에서 109건의 횡령 유용 사고가 발생했다. 금액도 194억원에 이른다.
단 0.1%포인트라도 더 높은 이자를 받기 위해 새벽부터 은행 점포 앞에서 줄을 서고 청년희망적금 가입을 위해 애플리케이션 실행 후 무한대기를 하는 사람들에게는 상상도 못할 수준의 돈이다.
이럴 때일수록 기본으로 돌아가야 한다. 기본은 신뢰 회복이다.
금융산업 발전을 위한 해외진출도 중요하고 급속한 디지털화에 따른 비대면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도 중요하다. 하지만 생업에 종사하는 모든 국민들의 땀이 배어 있는 돈을 제대로 관리하는 게 금융의 기본이다. 현대산업개발이 전면 철거 결정을 내린 것과 같은 혁신적인 쇄신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