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F는 기획재정부 1차관, 고용노동부 차관 공동주재로 관계부처 1급이 참여하며, 매월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내년도 고용전망 및 일자리 분야 주요 과제와 각 부처별 일자리 사업 추진계획 등을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내년 고용률은 올해와 유사한 수준이나, 실업률은 소폭 상승할 전망이다. 특히 취업자 증가폭은 올해 81만명에서 내년 8~9만명으로 큰 폭 축소할 것으로 보인다. 취업자 증가폭은 올해 이례적 호조세에 따른 기저효과가 상당부분 작용하나, 경기둔화 및 코로나 방역일자리 감소 등도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고 고용부는 설명했다.
고용부 관계자는 “통계적 기저효과가 크게 작용해 실제 고용상황 보다 취업자 증가세 둔화폭이 크게 나타나는 측면이 있다”며 “이에 내년도 취업자 증가폭 둔화가 전망되나, 빈 일자리 수가 매월 20만개 이상 유지되고 있어 빈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가 긴요하다”고 전했다.
빈 일자리는 현재 비어 있거나 1개월 안에 새로 채용될 수 있는 일자리를 의미한다. 채용이 이뤄지면 곧바로 일을 시작할 수 있지만 비어 있는 일자리라는 의미에서 구인난으로 해석될 수 있다.
지난달 빈 일자리 수는 20만8000개로 올들어 계속 20만개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 특히 30인 미만 소규모 사업장의 빈 일자리 수는 전체의 70%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대기업 중심의 고용시장은 경직되는 와중에도 소규모 사업장을 중심으로 구인난이 심해지고 있는 셈이다.
|
민간 주도의 일자리 창출 기조도 유지한다. 또 창출된 일자리에 적합한 인력이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고용서비스 밀착지원, 현장 맞춤형 인재 양성, 외국인력 신속입국 지원 등 매칭 강화 및 수요회복 분야에 대한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맞춤형 경제활동 확대 방안도 마련해 청년, 여성, 고령자 등 핵심계층의 고용률을 높일 계획이다. 청년의 경우 일경험 확대, 맞춤형 고용서비스 강화, 기업부담 경감 등으로 17만명 이상 지원하고, 여성은 근로시간 단축 등 경력단절 요인을 해소해 경제활동 참여 유도할 방침이다. 고용 취약계층 어려움 확대에 대비해 고용안전망 확충 노력도 지속할 예정이다.
일자리 미스매치 근본원인인 노동시장 구조개혁도 속도를 내겠다는 게 고용부의 설명이다. 민간·지역 일자리 창출과 고용취약계층 시장 진입 촉진을 위한 고용정책 기본계획 및 세부대책 수립 통해 노동시장 체질도 강화한다.
특히 연초 동절기 취약계층 소득 안정을 위해 정부 일자리 사업이 조기·적기 집행될수 있도록 우선 예산안 기준으로 사업계획 수립 등 사전 절차를 서두른다. 내년도 예산 확정 즉시 바로 집행될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하겠다는 설명이다.
고용부 관계자는 “앞으로 관계부처 합동 일자리 TF를 통해 고용시장을 면밀히 점검하겠다”며 “일자리 과제 발굴·협의, 주요 일자리사업 추진사항 점검 등 긴밀히 협력해 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