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적인 관점에서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직접 지원보다는 생태계 개선에 비중을 두겠다는 게 정부의 방침이나, 갈수록 심해지는 국내 게임 업계의 수익 양극화 현상을 부추기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20일 문화체육관광부가 최근 국회에 제출한 ‘2020년도 문체부 성과계획서’에 따르면 내년 지원 예정인 중소게임업체 수는 176개다. 이는 최근 5년 사이 가장 적은 지원 규모다.
중소게임업체 지원 수는 지난 2016년 260개(실적 320개), 2017년 336개(343개), 2018년 353개(353개)로 꾸준히 증가하다가 올해 177개로 대폭 감소했다. 내년도 올해와 비슷한 176개로 지원 규모를 정했다.
지원 대상은 문체부 산하 글로벌게임허브센터 인큐베이팅을 비롯해 게임글로벌서비스플랫폼, 기능성게임제작지원 등 정부가 진행하는 게임산업분야 중소기업 지원사업에 선정된 개발사들이다.
중소게임업체 지원 수 규모 축소에 따라 예산도 2018년 554억6600만원(결산 기준)에서 올해 597억3100만원(예산), 내년 447억700만원(예산)으로 감소했다.
문체부는 지원 목표치 설정 근거에 대해 변화한 외부환경에 대한 대비 정책이라고 설명했다.
문체부는 계획서에서 “e스포츠 산업의 활성화와 게임구독 서비스의 등장 및 가상현실(VR)·증강현실(AR)을 활용한 콘텐츠 등과 관련한 준비가 필요해졌다”며 “미래 시장 선점과 국내 게임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건강한 게임생태계 기반 확대 및 시장 유통구조 개선 등 정성적인 분야에 비중을 둬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실제 VR·AR 등 실감형 콘텐츠 제작업체의 지원 수는 2016년 신설된 이후 2017년 15개 2018년 20개, 2019년 56개로 증가해왔으며, 내년도 60개로 지원 규모를 확대했다. 예산 역시 2018년 118억8700만원(결산), 2019년 261억2500만원(예산), 2020년 974억5500만원(예산)으로 증가했다.
◇게임 업체 수 줄고 있어
업계는 이러한 지원 정책의 변화가 대형 게임사와 중소형 게임사 간 벌어지고 있는 수익 양극화 현상과 경영난에 따른 중소 개발사의 파산 확대 현상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지에 의구심을 나타내고 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이 펴낸 ‘콘텐츠산업 2018년 결산 및 2019년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 기준 3N(넥슨·넷마블·엔씨소프트) 외에 1000억원 이상 매출을 내는 9개사의 전체 매출을 합쳐도 넥슨 1개사와 비슷한 2조7000억원이었다. 아울러 전체 게임 개발·배급 업체 수는 2016년 908개에서 이듬해 888개로 감소했다.
업계 관계자는 “전 세계 게임산업 경쟁이 격화되면서 중소기업은 물론, 비교적 규모가 큰 기업까지 비즈니스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면서 “잠재력 있는 중소기업들이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마음껏 내보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허리를 펼 수 있는 합리적인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부 지원 체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