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경제 위기와 신흥 산업국가의 추격으로 고용 없는 성장이 지속하고 청년실업 문제가 심각해진 이유에서다.
정부는 4일 정홍원 국무총리 주재로 국무회의를 열고 창업과 벤처 활성화를 위한 ‘창조경제 실현계획-창조경제 생태계 조성방안’(이하 창조경제 실현계획)을 확정했다. 김대중 정부 시절 대대적인 벤처 확산 정책 이후 15년 만에 이뤄진 일이다. 정부는 올해에만 벤처 창업 확산 등 창조경제 구현에 6조9000억원의 예산을 투입키로 했다.
|
창업에 필수적인 꿈과 끼, 도전정신을 갖춘 글로벌 인재 육성을 위해 ‘초등학생용 융합인재 교육콘텐츠’를 개발해 교과서에 반영하고, ‘스펙초월 채용시스템’을 확산하며, 우수 해외 인재의 국내 유입을 위해 ‘창업비자’도 도입한다.
벤처·중소기업이 투자받을 수 있는 펀드만 연내 2조 6000억 원(성장사다리펀드 2조 원, 청년창업펀드 1000억 원, 미래창조펀드 5000억 원 등)이상 마련되고, 연대보증 폐지를 제2금융권으로 확대해 실패 CEO의 재기를 돕는다. 회생절차를 9개월에서 6개월로 줄이는 한편, 압류재산 면제범위 확대와 재창업 시 체납세금 일부 감면 등도 이뤄진다.
코스닥 등 주식시장, 인수합병(M&A)관련 규제를 완화해 벤처투자의 마중물을 붓고, 사업경험과 자산이 있는 엔젤 투자를 끌어들이기 위해 엔젤이 투자하면 모태펀드에서 2배 이상 매칭하는 등의 조치도 이뤄진다.
◇정부 중소기업 제품 구매 확대..글로벌 진출 맞춤지원 초점
정부와 공공기관은 벤처·중소기업의 첫 번째 고객이 돼 판로개척을 돕는다. IT 융합제품 및 부품·소재 등을 만드는 기업은 조달청 우수조달물품제도를 통해 공공시장에 진출할 수 있고, 나라장터 온라인 종합쇼핑몰에서 홍보할 수있게 된다.
협소한 국내 시장이 아닌 글로벌로 나갈 수 있도록 실리콘밸리, 중국 등에 해외IT지원센터(‘13년 3개소)와 코리아벤처창업센터(’13년 1개소)를 둔다. 특히 미래부는 1인 창업기업이나 벤처·중소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위해 통역지원서비스, 해외 전시회 참가 시 브로셔 외국어 제작 등을 돕는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상목 미래창조과학부 1차관은 “창조경제의 최종목표는 창업과 일자리 창출”이라면서 “시간제 일자리 확대와 함께 창업이 늘어나면 고용률 70%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