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즘)통계의 오류에 빠진 `땅과 집`

남창균 기자I 2007.10.25 10:42:19
[이데일리 남창균기자] 땅부자 1%가 57% 차지, 토지소유 편중 여전(2006년 10월2일자) 1% 땅부자가 사유지 57% 소유(2007년 10월24일자)

행정자치부가 매년 발표하는 `토지소유현황`이라는 자료가 있다. 언론은 이 자료를 인용해 매년 비슷한 기사를 쓴다. `땅부자 1%가 57% 소유` 제목만 놓고 보면 작년과 올해 기사를 분간할 수 없을 정도다.

그런데 문제는 개인별 토지소유현황 통계가 진실을 말해주지 않는다는 것이다. 토지소유는 대개 세대별로 세대주 한 사람 명의로 되어 있다. 따라서 세대별 토지소유현황이 토지소유의 실체를 보여주는데 적합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2006년 기준 개인별 땅 소유자는 27.9%(총인구 4899명 중 1367만명)에 불과하지만 세대별 토지 소유자는 59.8%(1833만세대 중 1097만세대)나 되기 때문이다.

주택보급률 통계도 현실에서 써먹을 수 없는 지표가 됐다. 그동안 정부는 주택보급률이 100%를 넘어서면 주택문제가 해결될 것처럼 말해왔지만, 2002년 주택보급률이 100%를 넘은 이후 집값문제는 더욱 난맥상을 보였다.(2005년 기준 전국 주택보급률은 105.9%)

이같은 문제가 생기자 정부는 글로벌 스탠더드인 인구 1000명당 주택수를 보조 지표로 사용하고 있다. 건설교통부에 따르면 2005년기준 1000명당 주택수는 279가구이다. 다가구를 포함하면 330가구에 달한다. 하지만 이는 독일(445가구) 미국(427가구) 일본(423가구) 영국(417가구) 등 선진국에 비하면 턱 없이 낮은 수준이다.

부실한 통계에 기초한 정책은 부실해 질 수밖에 없다. 참여정부가 집권 초기 집값을 잡겠다며 세금폭탄 만들기에 주력했던 것도 주택수급에 관한 정확한 통계가 없었기 때문이다. 참여정부는 작년부터 주택공급 부족 문제를 깨닫고 부랴부랴 신도시 공급에 열을 올리고 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