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상호관세 조치 앞둔 美증시 사흘 연속 상승[뉴스새벽배송]

김경은 기자I 2025.03.26 07:57:37

미국 소비자 기대지수 급랭
국채금리 소폭 하락...달러 상승세 멈춰
EU, 철강 세이프가드 강화...韓철강 영향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내주 발표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조치를 앞두고 뉴욕증시 3대지수가 소폭 올랐다. 사흘 연속 상승 마감이다. 그러나 미국 소비자 기대지수는 12년만에 최저치로 추락했고 미 국채금리는 소폭하락했다.

사진=로이터
◇뉴욕 3대 증시 강보합 마감

-25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블루칩을 모아놓은 다우존스 30산업평균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0.01% 오른 4만2587.50에 거래를 마쳐.

-대형주 벤치마크인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0.16% 오른 5776.65를 기록.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지수는 0.46% 오른 1만8271.85에 거래.

◇트럼프 관세에…美소비자 기대지수 12년 만에 최저치로 추락

-미 경제조사단체 콘퍼런스보드에 따르면 3월 미국의 소비자신뢰지수는 92.9(1985년=100 기준)로 2월(100.1) 대비 7.2포인트 하락함.

-이는 4개월 연속 하락세이고, 다우존스가 조사한 경제학자들의 추정치(93.5)보다 낮아. 지난 2021년 1월 이후 4년 만에 가장 낮은 수치.

-소비자의 단기 전망을 반영한 기대지수는 9.6포인트 하락한 65.2를 기록. 이는 12년 만에 가장 낮은 수치로, 일반적으로 경기 침체를 예고하는 기준선인 80을 크게 하회.

-컨퍼런스보드 글로벌 지표 담당 수석 이코노미스트 스테파니 기샤르드는 “최근 몇 달 동안 비교적 견고했던 미래 소득에 대한 낙관론이 사실상 사라졌고, 이는 경제와 노동시장에 대한 우려가 개인 상황에 대한 평가까지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음을 시사한다”고 평가.

◇테슬라 5거래일간 27.9% 급등…국제유가 5일 만에 하락

-테슬라가 3.45% 급등한 가운데 매그니피센트7은 대체로 상승. 테슬라는 5일 연속 급등해 상승률은 27.9%에 달해.

-이날은 고위험 고수익을 추구하는 것으로 유명한 투자자 캐시 우드 아크인베스트먼트 최고경영자(CEO)가 전날 5년 내 테슬라 주가가 2600달러까지 오를 것이란 전망을 내놓은 것 등이 호재로 작용.

-이외 애플(1.37%), 아마존(1.21%), 알파벳(1.68%) 메타(1.21%) 등이 1% 이상 오른 가운데 마이크로소프트도 0.53% 상승마감. 다만 엔비디아는 0.59% 하락.

◇국채금리 소폭 하락...달러 상승세 멈춰

-소비자 신뢰 및 기대지수가 악화로 전날 치솟았던 국채금리는 소폭 하락.

-오후 4시기준 10년물 국채금리는 전 거래일 대비 1.6bp(1bp=0.015포인트) 내린 4.315%를, 연준 정책에 민감하게 연동하는 2년물 국채금리는 2.2bp 빠진 4.015%를 기록 중.

-달러는 나흘간의 상승세를 멈추고 주요 6개국 통화대비 달러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0.05% 하락한 104.21을 기록 중이다.

◇유가 5일만 하락

-유가는 5거래일 만에 하락.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근월물인 5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보다 0.11달러(0.16%) 내린 69.00달러에 거래를 마감. 글로벌 벤치마크인 브렌트유 5월 인도분은 전장보다 0.02달러(0.03%) 오른 배럴당 73.02달러를 기록.

-미국과 우크라이나, 미국과 러시아가 각각 23일부터 3일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벌인 고위급 대표 회담을 통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에너지 시설 공격 금지 및 흑해에서의 안전한 항해 보장에 합의하면서 지정학적 위기 우려가 줄어든 것으로 풀이.

◇‘美관세 대응’ EU, 철강 세이프가드 강화

-내달부터 유럽연합(EU)에 무관세로 수출할 수 있는 한국 철강 물량이 최대 14% 줄어들 것으로 전망.

-EU는 25일(현지시간) 역내 철강산업 보호를 위한 세이프가드 개정안을 확정해 관보에 게재. 개정안은 26일 발효되며, 본격 시행은 내달 1일부터.

-EU 세이프가드는 2018년부터 트럼프 1기 행정부의 철강 관세에 대응해 국가별로 지정된 쿼터(할당량) 수준까지는 무관세로 수입하되, 초과 물량에 대해서는 25% 관세를 부과하는 제도.

-관보 분석 결과 주요 제품군별로 각국 쿼터가 조정된 가운데 한국의 경우 수출량이 가장 많은 열연 쿼터가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것으로 파악.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