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는 “현재 정의당이 처한 상황의 모든 원인이 비례대표 국회의원에게만 있는 것은 아니다”라면서도 “비례대표 의원들은 그동안 당의 정치적 결정과 행위의 과정에서 가장 많은 권한을 행사해 온 결정권자였다”고 책임을 물었다.
정 전 대변인은 “정의당이 지난 2년을 그 결정에 따라 움직여온 바, 대선과 지선에서 참패했다”며 “지도부로서 당을 위한 마지막 결단을 다시 한번 부탁드린다”고 했다. 그는 이어 “당의 운명과 미래를 결정할 당원총투표 발의 서명에 함께해달라”고 당원들에게 요청했다.
정 전 대변인은 지난 5일 본인의 SNS에 “돌아선 민심을 잡기 위한 강력한 쇄신안이라는 판단 하에 정의당 21대 비례대표 국회의원 사퇴 권고 당원 총투표를 대표 발의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어 “대선과 지방선거 참패는 물론 비호감 정당 1위라는 결과를 받아든 지금 비례대표들은 현 사태에 막중한 책임을 지고 있다”며 “새로운 정의당의 모습을 원내와 당이 모두 함께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0다.
정 전 대변인은 비례대표 의원 5인(류호정·장혜영·강은미·배진교·이은주)의 사퇴를 요구하는 내용의 당원 총투표를 발의했다. 이들이 사퇴할 경우 총선 때 비례대표 다음 순번(신장식·배복주·박창진·이자스민·양경규)이 의원직을 승계한다.
7일 정의당은 법률 검토 결과 의원직 사퇴 권고는 당원 총투표 대상이 아니라며 불가 결정을 내렸으나 9일 지도부가 입장을 번복하며 당원 총투표 발의를 위한 사전 작업인 당원 서명 절차가 시작됐다. 발의 서명은 정의당 홈페이지 등을 통해 진행되며 총 당권자 중 5% 이상 910명 이상이 서명할 경우 총투표가 발의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