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북극연구에 2774억 투입…기후위기 대응하고 녹는 길 활용 모색

임애신 기자I 2021.11.30 10:28:33

해수부, ''2050 북극 활동 전략'' 발표
2026년까지 2774억 투입…"연구 확대"
북극 외교 지평 확대…다원적 협력 모색

북극에서 항해를 하고 있는 아라온호 (사진=해수부)
[이데일리 임애신 기자] 정부가 향후 5년간 북극 연구에 2774억원을 투입한다. 그간 과학연구 중심으로 이뤄졌던 북극 활동에서 벗어나 기후위기 대응, 해양생태계 보호 등으로 저변을 넓히기 위한 것이다. 또 그동안 취약했던 다원적 외교협력모델 발굴에도 적극적으로 나선다.

해양수산부는 30일 열린 국무회의에서 중장기 북극 활동 방향을 정립하고 북극 활동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2050 북극 활동 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보고했다.

과학연구를 중심으로 이뤄졌던 기존 북극 활동에서 한 걸음 나아가 기후 위기 대응, 북극 해양생태계 보호 등 북극 현안 해결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26년까지 2774억원 투입…연구저변 확대

정부는 2026년까지 2774억원을 투입해 북극권 종합 관측망과 극지 데이터 댐을 구축한다. 이를 위해 차세대 쇄빙연구선과 큐브 위성, 고위도 관측센터 등을 활용한다.

이런 인프라를 기반으로 북극의 기후 위기에 대응하는 공동연구를 주도하고, 북극 기상 변화에 따른 이상기후 예측 능력을 2035년까지 선진국 수준으로 높이는 것이 목표다.

북극권 종합관측망과 데이터 댐 자료에 기반해 북극해 가상 재현 시뮬레이션을 개발하고, 해양쓰레기 등 해양오염원 저감 기술도 발굴한다.

아울러 북극권 국가들과의 협력을 통해 새로운 사업 기회도 발굴한다. 미국과 러시아, 노르웨이 등 8개 북극권 관문 국가와 맞춤형 협력사업인 ‘아틱 8 프로젝트(가칭)’를 시행한다. 프로젝트는 국가간 호혜적 동반자 관계를 구축해 북극항로, 친환경 에너지, 영구동토층 연구 등 구체적 협력 과제를 발굴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북극 연구원들 모습 (사진=해수부)
북극이사회를 비롯한 북극권 4대 협의체와의 다자 협력도 강화된다. 정부는 차세대 쇄빙연구선 등 연구 인프라를 활용해 덴마크 등 연안국, 유엔과 공동연구를 추진하고 북극 과학 장관회의를 유치해 협력 강화에 나설 방침이다.

이와 더불어 북극항로와 친환경 에너지·선박 개발, 비규제어업 방지에도 동참한다.

북극항로 활성화에 대비해 북극권 국가와 안전 선박 운항을 위한 지능형 북극해 해상교통정보서비스를 구축하고, 북극 대기오염 방지를 위한 친환경 연료(수소·메탄올·암모니아) 추진 선박 운항기술을 개발한다.

또 러시아의 북극 수소 클러스터, 친환경 에너지 관련 프로젝트에 국내 기업이 다양한 방식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도 제공할 예정이다.

정부는 북극 연구에 특화된 전문인력도 양성한다. 극지연구소를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스쿨로 지정해 극지과학에 특화된 커리큘럼을 개발한다.

◇‘자원의 보고’…“빙권 감소로 북극권 이용 부상”

북극은 다양한 수산 자원과 천연가스, 지하 자원, 생명자원을 보유한 자원의 보고다. 지구 온난화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곳이자 집중호우, 이상한파 등 전 세계 이상기후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온난화로 인한 급격한 빙권(氷圈) 감소로 북극권 이용 가능성이 증가하면서 물류·에너지·자원 등 분야에서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 러시아를 비롯한 북극권 국가뿐 아니라 중국, 일본 등 세계 각국은 과학연구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북극에 대한 영향력 확보와 해빙 가속화 등 북극의 환경 변화가 초래하는 기후 재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다.

우리나라도 1999년 최초의 북극탐사를 시작한 이래 2002년 다산 북극과학기지 설립하고 2004년에는 극지연구소를 설립했다. 2009년에는 쇄빙연구선 ‘아라온호’를 투입하는 등 연구 인프라를 기반으로 북극 연구에 동참하고 있다.

2013년에는 북극이사회의 정식 옵서버로 가입했고, 2015년에는 북극 해빙이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아시아 지역의 한파와 폭설의 주요 원인이라는 점을 세계 최초로 규명하는 등 북극권 파트너 국가로 발돋움하는 성과를 거뒀다.

올해에는 ‘극지활동 진흥법’을 제정·시행하고,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를 확정하는 등 북극 활동 선도국가로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