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최정희 기자] 구제역과 한파, 중동정세 불안에 따른 유가 상승, 그리고 물가 급등. 여기에 중국 등 신흥국의 긴축가능성이 우리나라 경제에 새로운 위험 요인으로 등장했다. 정부도 이 같은 위험으로 인해 소비 위축 등 경제의 불확실성이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기획재정부는 8일 최근 경제동향(그린북)을 통해 이 같이 언급하며 "우리 경제가 안정기반 하에 회복세를 지속할 수 있도록 국내외 여건변화에 따른 영향을 점검하고 탄력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또 "인플레 심리가 확산되지 않도록 물가불안에 대한 대응을 강화하겠다"고 덧붙였다.
재정부는 지난달 경제동향을 통해 `중동불안, 신흥국 인플레, 선진국의 재정건전성 악화`를 경제의 위험요인으로 지적했으나 이번 달에는 `신흥국 인플레`대신 `신흥국 긴축가능성`이 언급됐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특히 중국경제와 관련 "내수와 수출의 견조한 증가세가 유지되고 있으나 곡물 등 원자재가격 상승, 총수요 압력 증가로 인플레 압력이 지속되자 기준금리 인상, 지준율 이산 등 긴축정책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리비아 사태 등에 따른 국제유가 상승, 중국의 추가긴축 가능성 등 소비심리 불안요인이 상존하고 있다"며 신흥국의 긴축가능성이 소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소비자심리지수는 기준치인 100을 상회하고 있지만 3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다만 소매판매와 관련 "취업자 증가에 따라 가계의 소비여건이 개선되는 등 증가세를 이어갈 것"이라며 "임금상승세와 취업자 증가세로 실질구매력이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휘발유 판매량도 고유가의 영향에도 견조한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금융시장도 중동정세 불안과 중국의 기준금리 인상, 일본의 신용등급 하락 및 한반도 지정학적 위험 등으로 투자심리가 위축되는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안전자산 선호현상으로 주식시장에서 외국인 자금이 3조5000억원이나 빠져나갔고 달러-원화 환율은 2월 들어 7.2원이 상승해 2월말 1128.7원을 기록했다.
한편 재정부는 수출호조세 지속과 설 명절 등의 영향으로 1월 광공업 및 서비스 생산이 증가했지만 2월에는 명절효과가 사라지고 물가상승세가 지속되면서 다소 조정을 받거나 둔화될 소지가 있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