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의 장마기간은 17일로 평년 대비(수도권 31~32일) 약 15일 적었다. 연 강수량도 1186㎜로 평년(1417㎜)에 비해 줄어 들었다. 다만 국지성 집중호우는 이전에 비해 자주 관측됐다. 자치구별 강우 편차도 최대 379㎜ 정도로 컸다.
이처럼 여름철 게릴라성 호우 등으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서울시는 강수 감지 자동 전파시스템을 구축했다. 이 시스템은 기상관측장비인 강수량계에 일정량의(시간당 3mm이상) 강수가 유입되면 서울시와 25개 자치구의 수방 담당자, 시설물 관리자에게 자동으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해 돌발 호우 같은 위험상황을 신속하게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게릴라성 호우 등으로 하천이 갑자기 불어날 경우 발생하는 하천 고립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올해부터는 하천별로 해당 자치구가 동시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체제를 강화한다. 하천 수위 상승 시 자치구별로 대응했던 하천 통제를 하천 단위로 자치구가 공동 대응하는 체계로 전환하는 것. 지난해 도림천에서 첫 시범 운영하던 것을 서울시 내 전 하천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이를 비롯해 올 여름 국지성 집중호우 등 풍수해에 대비하기 위해 시는 종합대책인 ‘풍수해 안전대책’을 마련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날 오전 서울시청 충무기밀실에서 풍수해대책 추진현황 보고회를 주재해 각 분야별 풍수해 대비 상황을 점검했다.
이번 대책은 △돌발·국지성 강우 선제적 대응 시스템 강화 △하천, 반지하주택 등 침수취약지역별 대응책 가동 △여름철 풍수해 대비 사전 시설물 점검 △풍수해 재난안전대책본부 운영 △민·관·군 협업 통한 신속한 재해복구 △시민과 함께하는 풍수해 대책 홍보등이다.
침수취약가구 보호를 위해 시는 올 3~4월 92,485개 가구를 직접 방문하고 기존에 설치된 침수방지시설(물막이판·역지변·수중펌프 등)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점검·정비를 완료했다. 이달까지는 8549개 가구에 3만 5000여 개 시설을 추가로 설치할 계획이다. 비상 발령 시 침수취약가구를 보호하는 ‘돌봄서비스’, 주요 침수지역을 관리하는 ‘현장기동반’, 산사태 취약지역을 순찰하는 ‘산사태 현장예방단’도 운영한다.
한유석 서울시 물순환안전국장은 “이상기후로 인해 세계 곳곳에서 대규모 인명 및 재산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등 풍수해 위험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빈틈없는 사전준비와 관계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올해 한 건의 풍수해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