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한은이 홈페이지에 공개한 ‘11월 금융통화위원회 의사록’에 따르면 한은 관련부서는 “금융상황지수(FCI)로 추정되는 시장가격 변수상의 파급은 대체로 원활한 것으로 평가되나 긴축적·완화적 교란 요인이 혼재된 가운데 종합적으로는 물가목표 달성 지연 가능성이 확대됐다”고 밝혔다.
한은은 통화정책 긴축기조의 파급 효과에 대해 점검하면서 부서의 의견을 밝혔다. 이 부서는 통화정책국으로 추정된다.
금융시장에 대해선 단기시장금리 상승 등으로 정책 파급의 1차 경로인 금융상황지수가 신속히 긴축으로 전환했고 올해 초까지 가계대출이 완만한 수축 움직임을 보였으나 이후 가계대출은 주택관련대출을 중심으로 다시 증가했다고 평가했다.
실물경제에 대해선 반도체 경기 둔화 등이 투자에 긴축적으로 작용했던 반면 가계 초과저축 등은 소비에 완화적으로 작용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향후에는 동 요인들이 종전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했다. 반도체 수출이 개선되면서 투자는 완화적으로, 소비는 긴축적으로 바뀔 것이라는 분석이다.
기대인플레이션율에 대해선 하향 추세를 보였으나 최근 에너지, 식료품 가격 상승 등 교란요인들이 기대인플레이션의 재안착을 지연시킬 수 있다고 평가했다.
한은 관련 부서는 “통화정책의 파급경로상 교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할 때 향후 물가경로에 상당한 불확실성이 있다고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이에 “주요 교란 요인과 물가지표의 움직임을 주의깊게 모니터링해 통화정책 긴축이 물가안정에 충분한 수준인지 여부를 계속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반면 11월 30일 금통위가 있었던 날, 한은 조사국에선 물가상승률이 목표에 도달하는 시점이 내년말 또는 2025년초로 종전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진단했다.
한은 부서간 물가전망 경로에 대한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만큼 이에 대한 경계 목소리도 나왔다. 한 금통위원은 “효과적인 대외 커뮤니케이션 및 내부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물가안정에 부합하는 물가전망 경로에 대한 합의가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위원은 “소비자 물가상승률이 목표 수준으로 복귀하는 시기가 당초 예상보다 늦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통화정책 신뢰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소통 전략 마련에 힘쓸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한편 금통위원 일부는 “통화정책 유효성을 제약할 수 있는 교란요인에 대해 일부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해외 교란 요인은 어쩔 수 없지만 국내 교란요인에 대해선 관련 정책당국과의 소통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얘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