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집값 하락에 이자부담 이중고...잠못드는 영끌족

신수정 기자I 2022.02.13 13:58:09

서울 아파트가격 3주 연속 내림세 이어가
이자는 반년전보다 연간 200만원 더내야
전문가 "약보합세 장기적 전략 세워야"

[이데일리 신수정 기자] 30대 추 모씨는 지난해 경기도의 한 아파트를 7억 5000만원에 사면서 3억원가량을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로 충당했다. ‘영끌(영혼까지 대출을 끌어모음)’ 매수이지만, 그렇게라도 하지 않으면 영영 집을 살 수 없을 것이란 불안감이 컸다. 그러나 추 씨는 요즘 밤잠을 설치고 있다. 서울 집값이 제자리걸음을 하는 데다 2% 중후반이었던 신용대출 금리가 1년 만에 4%대까지 올랐기 때문이다. 금리가 더 오를거란 전망에 떠밀리듯 집을 산건 아닌지 불안감은 더 커지고 있다.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가 일제히 상승한 18일 오후 서울 시내 한 은행 영업점에 대출 관련 안내문이 붙어 있다. (사진=뉴시스)
아파트값 조정세에 ‘영끌매수’한 2030세대가 밤잠을 설치고 있다. 최근 금리 인상에 따른 대출이자 부담과 자산가치 하락이 겹치면서다. 서울 집값 풍향계로 불리는 강남 집값도 하락 전환하면서 추가 가격 하락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두려움이 크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7일 기준 서울 아파트값은 전주 대비 0.01% 하락했다. 부동산원 조사 기준 3주 연속 내림세다. 경기(-0.02%)와 인천(-0.02%)에서도 지난주에 이어 2주 내리 아파트값이 떨어졌다.

실거래 역시 최고가보다 수 억원 이상 낮게 거래되고 있다. 잠실동 대장주 아파트인 ‘아시아선수촌’ 전용 151㎡도 지난해 12월 38억 5000만원에 새 주인을 찾았다. 이는 지난해 신고가인 42억원보다 3억 5000만원 내린 가격이다. 송파구 신천동에 있는 ‘파크리오’ 전용 84㎡는 지난달 21억 6400만원(30층)에 거래됐다. 지난해 10월 신고가인 25억 2000만원보다 3억5600만원 떨어졌다.

반면 금리는 우상향 중이다. 지난해 6월 말(변동형 2.39~4.047%, 혼합형 2.94~4.58%)까지만 해도 연 2% 초중반대 금리로 주담대 이용이 가능했지만 지금은 3%대로 빌리기조차 어려워졌다. 우리은행 변동형(4.09~4.89%)과 하나은행 혼합형(4.07~5.37%) 금리 하단은 이미 4% 선에 올라섰다. 반년 전 3.0% 금리로 3억원을 빌리면 매달 약 126만원(30년 만기·원리금균등 상환)을 갚으면 됐지만, 지금은 4.0% 금리로 빌리더라도 월 상환액이 143만원으로 17만원 가까이 늘어난다. 연간으론 200만원 가량을 추가 부담해야 한다. 한국은행이 연내 1~2차례 기준금리를 추가 인상할 것으로 점쳐지면서 향후 대출금리 상승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

정부는 최근 집값이 ‘추세적 하락’에 접어들었다고 평가했다. 그동안 매수세를 견인했던 젊은 영끌족의 힘이 빠졌다는 분석이다. 기준금리 인상과 대출규제인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시행 등으로 자금 마련이 어려워졌고 이자 부담도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해 집값 상승을 이끌었던 것은 2030세대로 나타났다. 한국부동산원이 공개한 매입자 연령대별 아파트 매매거래 건수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2030 세대(20대 이하 포함)의 전국 아파트 매입 비중은 평균 31%로 집계됐다. 이 조사가 시작된 2019년의 28.3%, 2020년 29.2%에 이어 처음으로 30%를 돌파했다. 서울은 지난해 2030 세대의 아파트 매입 비중이 41.7%로 40%를 넘어섰다. 2019년의 31.8%, 2020년의 37.3%를 크게 웃도는 수치다.

전문가들은 추가적인 금리인상에 대비해 주택담보대출 비중을 줄이고 선제적인 상환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약보합 수준의 집값 흐름이 이어지고 있는 만큼 ‘버티기 전략’에 들어가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규정 한국투자증권 자산승계연구소장은 “지난해부터 가격 조정 분위기가 예상됐던 만큼 과도한 레버리지를 사용하지 않았다면 막연한 공포에 휩싸이지 않으면서 장기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며 “대선후보들 역시 실수요자에 대한 대출규제 완화 등을 예고한 만큼 정책적인 지원책을 살피면서 결정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송승현 도시와 경제 대표는 “영국과 미국 등 양적완화의 종료를 예고했고 우리나라도 이같은 움직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면서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이자 부담이 커질 전망이다”며 “여윳돈이 있다면 대출원금 상환에 집중해 이자부담을 줄여나갈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설명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