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연구원(KIET)은 15일 물가관계부처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전자상거래 시장현황과 향후과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자상거래 시장은 2006~2011년 동안 연평균 19%씩 성장해 지난 2011년 매출액은 999조원으로 늘어났다. 이는 2006년에 비해 2.4배 성장한 규모다.
네트워크의 진전과 전자결제의 안전성 보완, 인터넷에 익숙한 세대의 경제주체로의 진입 등이 온라인 거래가 늘어난 배경이다. 이와 함께 스마트폰의 보급 확대에 따른 모바일쇼핑 확산도 전자상거래가 늘어난 이유로 꼽힌다. 실제로 지난 2009년 30억원 규모였던 모바일쇼핑 시장은 지난해 6000억원으로, 200배 가량 성장했다.
|
전자상거래 규모가 커지면서 경쟁 활성화에 따른 물가안정, 효율적인 자원배분을 통한 경제효율성 제고 등의 효과가 발휘되고 있다는 게 연구원 측 분석이다. B2B 측면에서는 기업내부의 운영 효율성과 생산성 증대를 통한 원가절감 효과가, B2C 측면에서는 유통체계의 개선과 온·오프라인간의 경쟁촉진 등을 통해 물가하락 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이다. 유통단계 줄어드는 데다, 점포설립과 유지비용이 절감되는 것도 가격이 낮아지 배경이다.
실제로 전자상거래의 물가하락 효과는 온라인(종합쇼핑몰, 오픈마켓)과 오프라인에서의 거래가격 차이에서 확인할 수 있다. 삼성디지털프라자에서 34만원에 팔리는 삼성전자(005930)의 디지털카메라 ‘MV900F’ 제품은 신세계몰과 11번가에서 각각 31만9000원, 27만8410원에 판매되고 있다. 농심의 신라면1박스(20봉)도 소매점포에서는 1만5000원이지만, 현재H몰과 G마켓에선 1만4900원과 1만2100원에 팔린다.
하지만 연구원은 여전히 ▲온라인쇼핑에 대한 소비자 신뢰 부족 ▲전자상거래 결제의 불안감 ▲택배서비스 고객 불편 증가 등의 저해요인으로 인해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연구원은 “보안에 취약한 액티브엑스(Active X)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국내 웹 브라우징 환경을 개선하고, 정책적 지원을 통해 택배서비스의 품질을 끌어올려 전자상거래 규모를 키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구원은 또 “전자상거래의 새로운 채널로 부상하고 있는 모바일 쇼핑 시장을 키우기 위해 ‘모바일 커머스’ 관련 연구개발에 대한 정부지원도 확대돼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