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백재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민안전처의 국가지진위험지도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부산·울진·경주는 지진 재현주기 200년엔 6~7, 500년엔 8~10, 1000엔 11~13 수치를 보여 지진 Ⅰ구역에 속했다.
지진 Ⅰ구역은 진도 6.0(0.11g, 500년 빈도 기준) 지진이 일어나는 곳이다. 이번에 경주에서 발생한 지진(진도 5.8)보다 센 규모다. 위험지역 기준구분선인 수치 7보다 높아질수록 지진 위험성이 커진다. 수치 7을 넘어선 부산·울진·경주 지역은 대지진이 200·500·1000년 단위로 일어날 수 있는 셈이다.
기상청의 한반도 역사지진 기록에 의하면 경주에서 통일신라시대인 779년 3월 진도 8~9(규모 6.5 추정)의 지진이 발생했다. 당시 100여명이 사망하고 가옥이 무너진 것으로 기록돼 있다. 이는 1237년 전으로 문헌상 최대 규모의 지진이었다.
◇국가지진위험지도 “부산·울진·경주, 200·500년마다 대지진 우려”
|
고강도 지진의 주기도 빨라지고 있다. 1978년 이후 국내에서 규모 5.0 이상 지진이 9번 발생했다. 이중 3번이 올해 일어났다. 지난 12일 경주 지진에 앞서 지난 7월 울산에서 5.0 지진이 일어났다. 오창환 전북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는 “이 같은 지진 빈도·주기의 변화는 다가올 위험에 대한 경고치가 높아진 것”이라고 진단했다.
현재 국내 가동 중인 원전 대다수는 내진 설계값 0.2g(진도 6.5)에 견디도록 설계돼 있다. 진도 6.5 이상 지진이 발생할 경우 PK 지역의 대형 재난이 우려된다. 이 지역은 부산(355만명), 경남(336만명), 경북(270만명), 대구(248만명), 울산(117만명) 등 총 1326만명이 사는 지역이다. 이번 지진 여파로 정지된 월성 원전 등 국내 원전의 90% 이상이 위치한 곳이기도 하다.
◇산업부 “이상 無”..전문가 “부지 재조사·내진설계 강화해야”
|
원전 전문가들은 국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하려면 투명하게 안전 대책을 만드는 게 중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오 교수는 “정치적 부담 때문에 부지 재조사·재평가를 미루거나 예산 문제 때문에 내진시설 강화를 꺼릴까 염려된다”며 “정부가 지진 예측이 빗나간 점을 인정하고 이제라도 부지 안전성 문제부터 투명하게 검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현재까지 안전관리에는 큰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김용환 원안위원장 모두 지진 이후 즉각 대책회의를 주재하며 “현재 원전에 이상이 없다”고 확인했다. 다만 추가적인 대비책은 검토할 예정이다.
주 장관은 지난 13일 경주 월성 원전을 방문해 “24개 가동원전에 대한 1차 안전점검을 실시했는데 다행스럽게도 현재까지는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이번 지진사태를 계기로 에너지, 산업 주요시설 지진방재 대책을 전면 재검토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 관련기사 ◀
☞ [사설] 눈앞에 바싹 다가서고 있는 지진 위기
☞ 월성원전 찾은 문재인 “원자력안전위, 지진 상황인데 한 달 넘게 공백”
☞ 김부겸 “에너지 정책, 원자력 발전에서 완전 탈피해야”
☞ 문재인-안철수 "경주 지진, 원전 괜찮은가 걱정" 한 목소리
☞ 경주 지진에 월성 1~4기 수동정지..산업부 "이상 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