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FOMC를 앞두고 연준의 1월 금리 동결 전망에 힘을 실어준 것은 미국 경기 모멘텀 강화였던 만큼 향후 발표되는 실물 경제지표에 대한 증시 민감도는 높아졌던 상황인데 전일 발표된 11월 소매판매가 10월과 컨센서스를 상회했다는 점은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했다는 평가다.
한 연구원은 12월 FOMC 이후 1~2거래일 동안에는 실제 결과를 놓고 시장의 해석이 엇갈리는 과정에서 변동성은 연장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경기 모멘텀 둔화, 코어 인플레이션의 하락 추세 등이 반영되면서 내년도 상반기까지 연준의 금리인하 명분은 유지될 것으로 판단했다.
이에 따라 이날 국내 증시는 과매도 인식에 따른 저가 매수세 유입으로 주가 되돌림이 출현하겠으나, 12월 FOMC, 마이크론 실적 등 내일 새벽 대형 이벤트를 앞둔 관망심리도 개입됨에 따라 주가 상단이 제한되는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한 연구원은 “12월부터 국내 증시의 발목이 수시로 붙잡힌 데에는 환율 부담이 작용한 측면이 있다”며 “12월 이후 달러·원 환율 급등 요인 중 하나인 계엄 사태 충격은 이제 완화 국면에 들어섰지만, 또 다른 요인인 12월 FOMC 경계심리 발 글로벌 달러화 강세가 이어지면서 환율 급등세가 좀처럼 진정되고 있지 않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12월 초 계엄사태처럼 환율이 가파르게 상승하는 사태가 일어나지 않는 한, 현재의 고환율을 단순히 부정적으로 받아들이기보다는 유불리를 따져 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며 “가령, 4분기를 포함해 향후 국내 기업들의 실적 기대감과 눈높이가 낮아진 상태 속에서 최근의 고환율이 수출업체들에 지난 1~2분기처럼 환율효과를 부여할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런 측면에서 반도체를 제외하면 코스피에 비해 유의미한 주가 상승이 나타나지 않고 있긴 하지만, 자동차, 조선, 필수소비재, IT가전 등 여타 수출주들도 단기 대응 전략에 반영해볼 만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