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쟁의행위 투표에 참여해 파업을 예고한 61개 병원은 국립중앙의료원, 한국원자력의학원, 경기도의료원 등 공공병원 31곳과 강동경희대병원, 고려대의료원, 한양대의료원 등 민간병원 30곳이다. 현재 보건의료노조는 중앙노동위원회, 지방노동위원회에 노동쟁의조정신청서를 제출해 조정 절차를 밟고 있다. 조정에 실패할 경우 오는 29일 오전 7시부터 동시 파업에 돌입한다.
보건의료노조는 파업하더라도 응급실, 수술실, 중환자실, 분만실, 신생아실 등 환자 생명과 직결된 업무에는 인력을 투입하겠다는 입장이지만 현장 우려는 심화하고 있다. 지난 2월 전공의들이 병원을 이탈한 지 6개월이 지나 현장을 지키는 인력들의 피로도가 누적된 데다가, 최근 코로나19 유행과 온열질환자 급증까지 겹치면서 한계에 다다랐기 때문이다. 이같은 상황에서 전공의 공백을 상당 부분 메워왔던 간호사들이 대거 파업에 참여할 경우 의료현장에서 체감하는 영향력은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들의 요구사항은 △조속한 진료 정상화 △불법의료 근절과 업무 범위 명확화 △주4일제 시범사업 실시 △간접고용 문제 해결 △총액 대비 6.4% 임금 인상 등이다. 각 병원에서는 파업이 예고된 오는 29일 전까지 노조와 합의를 시도할 예정이다. 하지만 전공의 이탈 이후 경영 사정이 좋지 않아 이들의 요구를 모두 수용하기란 쉽지 않을 전망이다.
이날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의사 집단행동 중앙사고수습본부를 주재해 “의료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집중해야 할 시기”라며 “집단행동을 자제하고 사용자와의 적극적인 대화와 협의로 지금의 상황을 함께 해결해 달라”고 요청했다.
조 장관은 “국민의 생명을 지키고 환자의 안전을 보호하는 것은 어떠한 경우에도 소홀히 해서는 안 되는 정부와 보건의료인 모두 본연의 임무”라며 “보건의료노조가 예고한 파업이 진행된다면 전공의 공백으로 부담이 커지고 있는 의료체계에 상당한 차질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께 돌아갈 것”이라고 호소했다.
중수본은 파업 상황에도 응급센터 등을 통해 24시간 비상진료체계를 유지하고, 파업에 참여하지 않는 공공의료기관을 중심으로 비상진료를 실시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