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오르면 왜 대출금리도 오를까?

이윤화 기자I 2022.01.30 23:00:00

1월에도 3%대 소비자 물가상승률 나타날 것으로 전망
물가 잡기 위해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 사이클 지속
7년7개월만 최고 수준 오른 가계대출 금리 더 오른다
서민 지갑 사정 더욱 나빠져 소비 여력 감소할 가능성

[이데일리 이윤화 기자] 오는 4일 발표를 앞둔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3%대 초중반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물가가 오르는 만큼 서민들의 대출이자 부담도 가중되면서 설 연휴 이후 주머니 사정이 더욱 나빠질 것으로 보인다.

이억원 기획재정부 차관(오른쪽)이 28일 서울 양재 하나로마트를 방문해 농수축산물 가격과 수급 동향을 파악하고 있다.(사진=기획재정부)
한국은행이 지난 28일 발표한 12월 은행권의 12월 기준 가계대출 금리는 3.66%로 전월 대비 0.05%포인트 올랐다. 7개월 연속 상승한 것이며, 2018년 8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2018년 8월(3.66%) 이후 최고치다.

가계대출 중 일반신용대출 금리는 5.12%를 나타냈고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3.63%를 기록했다. 특히 주담대 금리는 2014년 5월(3.63%)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보여 7년 7개월만에 최고치로 올랐다.

경제전문가들은 물가상승률이 올해 상반기까지 3%대 높은 증가세를 이어가면서 서민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 보고 있다. 대출금리가 물가와 어떤 연관성이 있기에 물가가 오르면 대출 이자 부담을 걱정해야 하는 것일까.

이는 한국은행이 물가안정목표제를 통화정책 운영체제로서 선택하고 있다는 점을 알면 이해할 수 있다. 물가안정목표제란, 통화량 등의 중간목표를 두지 않고 정책의 최종 목표인 ‘물가상승률’ 자체를 목표로 설정하고 중기적 시계에서 이를 달성하려 하는 통화정책 운영방식이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포함한 해외 다수 중앙은행이 이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2019년 이후 물가안정목표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전년 대비) 기준 2%이다.

한국은행은 중기적 시계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물가안정목표에 근접하도록 통화신용정책을 운영하며,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목표수준을 지속적으로 상회하거나 하회할 위험을 균형있게 고려해야 할 의무를 띄고 있다.

현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0월 이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개월 연속 3%대를 유지하고 있다. 물가 급등에 놀란 정부는 공공요금 동결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지만 쉽사리 물가 오름세가 잡히지 않는 모습이다. 한은 역시 높아진 물가를 고려해 지난해 11월 이후 올 1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 연속 인상을 단행했다. 지난해 8월 코로나19 이후 첫 인상 이후 6개월 만에 세 차례 인상을 단행했다.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 이외에도 미국 등 주요국 물가 상승 흐름이 가팔라지면서 국내 시장금리(국고채)에 영향을 주는 금리들이 빠르게 상승하는 모습이다. 대표적으로 미국의 장기물 금리인 10년물, 단기물인 2년물 금리는 경기 여건과 물가 상황 및 중앙은행 통화정책 기대 등을 반영해 최근 상승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28일(현지시간) 기준 각각 1.8%대, 1.1%대 후반을 기록하면서 팬데믹 초기였던 2020년 수준까지 높아졌다. 이는 우리나라 국고채 장단기 금리에도 영향을 주면서 이에 연동된 주담대 금리 등을 끌어 올리게 된다.

채권시장 전문가들은 이런 여파에 국고채 3년물 금리 상단을 2.3%, 10년물은 2.75%까지 열어둬야 한단 입장이다. 이렇게 되면 물가의 지속적인 상승이 촉발한 ‘나비효과’가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긴축, 가계의 소비 여력 약화까지 이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승훈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중기적 시계에서 물가 흐름을 보면 올 상반기까지 3%대가 나오고 하반기에 가야 2%, 1%대로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이에 한국은행이 한 차례 기준금리를 추가 인상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