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신문 | 이 기사는 이데일리신문 2012년 04월 18일자 32면에 게재됐습니다. |
|
[이데일리 오현주 기자] 180cm는 족히 넘길 거대한 난쟁이들이 보인다. 모두 아홉이다. 노랑 빨강 파랑 등 원색을 차려입은 그들이 낯설지 않다. 동화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에서 봤던 그 난쟁이들이 맞다. 일곱이 아닌 아홉이란 게 다를 뿐이다. 그런데 좀더 자세히 들여다보니 다른 것이 더 있다. 친근하고 다정했던 형상은 온데간데없이 난쟁이들은 부서지고 망가져 있는 거다. 눈은 움푹 패였고 팔은 으스러졌으며 코에는 대롱이 박혔다.
`문제적 작가`란 수식을 달고 다니는 미국 현대미술가 폴 매카시(67)가 `아홉 난쟁이들`을 이끌고 나타났다. 국내 첫 개인전이다. `문제`나 `논쟁`에 걸맞게 작가의 작품세계는 흔히 알고 있는 동화에선 한참을 벗어나 있다. 착하고 순진한 이야기 속 인물들은 심하다 싶게 일그러지고 비틀린 채다.
엉뚱하고 잔인한 변형으로 매카시가 겨냥한 것은 대중매체에 익숙해진 `아메리칸 드림`이다. 그 꿈에 대한 힐난이고 저항이다. 할리우드나 디즈니랜드가 만들어낸 이상화되고 욕망화된 아이콘들이 사람들을 옥죄고 있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다. 사회적·정치적 이슈로써 소재를 끄집어내 여기에 반응하는 원초적인 인간의 모습을 적나라하게 표현하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 초. 이때부터 대중문화를 통해 신화화된 캐릭터들이 그의 도마 위에 올랐다.
작가에게 해체 당한 인물들은 비단 `난쟁이들`뿐만이 아니다. 피노키오, 하이디, 뽀빠이와 올리브, 산타클로스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고 거침없다. 굳이 장르를 구분하지 않았다. 회화·드로잉·조각은 기본이고 사진·드로잉·퍼포먼스·비디오 등 설치미술의 경계도 넘었다. 거친 표현방법만 일관됐다. 그로테스크하고 폭력적이며, 성적인 코드 사용에도 서슴지 않는다. 미국적 모순된 관념이 품은 환상이나 순수, 품위 따위에서 `깨어나라`는 다그침은 `동화 뒤집어보기`의 수위를 훌쩍 넘겼다.
|
전시는 조각 10점으로 구성했다. 그 가운데 실리콘으로 만들어진 `아홉 난쟁이들`은 `백설공주` 시리즈 중 일부. 세계 어디를 가든 격렬한 관심과 논란의 중심에 섰던 작품이다. 19세기에 쓰인 독일 동화를 원작으로 삼되 형상은 1937년 제작된 디즈니 애니메이션에서 가져왔다. 하지만 깔린 내포는 남성 중심의 권력에 대한 비판이다. 덕분에 난쟁이들은 화려한 색깔을 입고 이름도 얻었다. 멍청이(Dopey), 재채기(Sneezy), 졸림이(Sleepy), 행복이(Happy), 박사(Doc), 심술이(Grumpy) 등.
서울 소격동 국제갤러리가 개관 30주년을 맞아 새롭게 조성한 3관에 꾸며놨다. 전시장 밖 정원엔 길이 5m에 달하는 `사과나무 소년 사과나무 소녀`를 세웠다. 알루미늄 조각이다. 매카시가 옮겨온 10점 중 난쟁이가 아닌 나머지 하나다. `소년 소녀`가 품는 목가적인 이미지는 사라졌다. 사과나무에 걸터앉은 거대한 로봇만 보인다. 작가 자신이 “제 자리에서 제 형태를 띠고 있으므로 아름답다”고 말한 그 모습이다. 5월12일까지. 02-735-84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