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김희정 의원(한나라당)은 29일 "한국정보보호진흥원(KISA)에서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스파이웨어를 탐지·제거하는 안티 스파이웨어에 대한 민원들이 점점 늘고 있다"며 "있지도 않는 스파이웨어를 핑계로 요금을 청구하는 사례도 일부 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존재하지도 않는 악성코드를 탐지하고 결재를 요구한 스파이웨어 제거 프로그램 `비패스트 1.0`에 대해 한국정보보호진흥원(KISA)과 서울지방경찰청이 분석을 진행중"이라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치료한 파일을 다시 진단, 이중으로 돈을 내도록 하는 스파이웨어 제거 프로그램도 일부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김 의원은 "지금까지 정보보호진흥원에서 파악한 국내 스파이웨어 제거프로그램은 총 59종"이라며 "대부분의 프로그램은 유해성이 없는 것으로 분석됐지만, 악성 프로그램으로 판단될 경우 수사기관에 추가로 넘길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