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기준 도시텃밭 면적은 1052㏊다. 도시텃밭 참여자는 195만6000명, 도시농업 공동체는 575개소다. 실내 농작물재배 온라인 정보량은 2019년 6만3668건에서 2021년 19만9038건으로 3배 넘게 증가했다. 2017년 도시농업관리사 자격제도 시행 이후 전문인력은 9373명 배출됐다. 가정원예 도서 판매량과 반려식물 관련 디자인 출원 건수가 늘어나는 등 식물집사, 플랜테리어 등 새 트렌드의 확산되는 추세다.
농식품부는 5년 내 도시텃밭 참여자와 도시농업 공동체를 각각 300만명, 1000개소까지 육성하겠다는 방침이다. 도시농업 맞춤형 모델은 지난해 4종에서 2027년 14종까지 확대하고, 기후변화대응 식물도 40종에서 80종까지 늘린다. 이를 위해 △탄소중립과 생태환경 보전 △스마트한 도시농업 △일상생활 속 도시농업 확산 △상생과 협력 확대 등을 중점 추진한다.
우선 도심 지역 건축물 내 공간을 활용한 수요자 맞춤형 텃밭을 조성하고 생태교육 공간을 마련한다. 철도·역사 부지, 군부대 이전지 등 방치된 유휴공간에는 도시 숲을 만들어 휴식 공간을 조성할 계획이다. 텃밭 부산물, 커피 찌꺼기 퇴비화 등 자원순환 재배기술을 확산할 수 있도록 실용화한다.
최근 반려식물에 대한 관심을 반영해 식물 추천부터 구매까지 도시농업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누리집을 운영한다. 사물인터넷(IoT) 등을 활용한 디지털 농업 학습 교구·콘텐츠를 보급하고, 기존 교육기관이었던 도시농업지원센터를 산업 육성 기관으로 활용해 스마트팜, 식물인테리어 등 연관산업 활성화를 촉진하겠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생애주기별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직장 내 모임과 아파트 주민, 어르신들 대상으로 공동체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사회 취약계층에 텃밭 생산물 기부를 통해 먹거리를 지원하는 동시에 이들 시설에 텃밭을 조성해 지역 일자리와 연계를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학교 교육에서도 텃밭 활용을 확대하고 우수 사례도 선정한다.
이밖에도 기업의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도시농업 모델을 발굴·확산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ESG 경영기관과 도시농업 수요기관 사이 연계 플랫폼을 구축하고 도시농업 사회공헌 인증제 등을 도입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이번 3차 종합계획은 확대된 도시농업의 외연을 기반으로 도시농업이 갖는 환경적, 사회적 가치 등을 활용한 활동을 통해 도시민, 농업인, 기업이 상생하는 체계를 만들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