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은 자원개발이야말로 단기투자로 성과를 낼 수 없는 장기투자 대상이라고 조언한다. 탐사에서 생산에 이르기까지 실패 확률도 높고 오랜 기간이 소요되지만, 성공시 하이리턴이 가능하다는 점에서다.
◇치솟는 원자재가격 어디까지 오르나
지난해 초 서부텍사스산중질유(WTI) 기준으로 배럴당 50달러대에 머물던 유가는 현재 100달러를 훌쩍 넘어서 139달러까지 경험했다. 1년만에 두 배를 훨씬 넘게 오른 것이다. 유가 급등세는 여기서 그치지 않을 전망이다. 최근 골드만삭스에 이어 모건스탠리도 국제유가가 조만간 배럴당 150달러를 상회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더 나아가 러시아 최대 에너지 기업인 가즈프롬은 내년 중 유가가 배럴당 250달러까지 오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금 선물 역시 작년초 온스당 600달러대였지만, 올 초 1000달러를 넘어서기도 했다. 옥수수와 대두는 작년초 대비 54%, 81% 가량 뛰었고, 쌀 가격은 올 들어서만 71% 상승했다. 원자재 가격이 멈출줄 모르고 치솟고 있다.
이처럼 원자재가격이 고공행진을 거급하고 있는 원인은 석유 및 원자재의 공급능력에 비해 이머징국가들의 원자재 수요가 급증했다는 데 있다. 여기에 달러화 약세에 따른 인플레이션 헤지 수요가 가세하면서 원자재 상품 가격 오름세는 멈출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중국와 인도 등 신흥 이머징 국가들이 급성장하면서 원자재 수요는 급격하게 늘어난 반면 공급은 미처 이를 따라잡지 못해 발생한 현상이다. 신흥국가의 고성장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원자재가격 고공행진은 구조적으로 지속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원자재가 투자처로 부상하고 있는 이유다.
|
◇해외자원개발 펀드에 장기투자 해볼까
원자재가격 급등으로 촉발된 해외자원개발 붐이 펀드시장으로 이어지고 있다. 지난 2006년 12월 베트남 유전에 투자하는 `한국베트남 15-1 유전해외자원펀드`가 첫 선을 보인 데 이어 올 초에는 `하나 UBS암바토비니켈해외자원개발1 펀드`가 상장됐다. 이들 펀드의 만기는 각각 5년과 11년이다.
한국베트남 15-1 유전해외자원 펀드는 순자산이 2058억원으로 실물펀드 가운데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한다. 5년간 운용하면서 배당금과 원금을 나눠 상환하는 구조로 만들어졌다. 지난해 1월말 1기 배당수익률 연 7.52%를 기록한 데 이어 올 1월말 4기에는 연 12.20%를 기록했다. 국제유가가 급등하면서 분기별 배당수익이 늘어난 것이다.
자원개발펀드의 또 하나의 매력은 세제혜택이다. 개인투자자는 투자금액 3억원 이하는 배당소득 비과세 혜택을, 3억원 초과는 분리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비과세 혜택은 올 연말까지 유효하며, 분리과세 혜택은 대부분 2012년까지 유효하다.
에너지·원자재 관련 기업에 투자하는 펀드에 투자하는 것도 자원개발에 투자하는 한 방법이다. 기은SG자산운용은 지난달 `글로벌 에너지 원자재 주식투자신탁`을 출시했다. 에너지, 고급광물, 일반광물을 주요사업으로 하는 글로벌 기업 주식에 투자해 장기 고수익을 추구하는 주식형 펀드다.
이진서 기은SG자산운용 전무는 "아시아 이머징 국가의 경제성장으로 에너지 및 원자재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자원개발의 한계로 에너지 및 원자재 공급은 부족한 현실"이라며 "향후 천연자원의 가치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에서 이들 종목에 투자하는 펀드의 가치 상승을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코스닥 자원개발주도 장기투자 바람직
|
석유개발의 경우 탐사지역을 선정한 후 물리탐사작업을 실시한다. 이후 탐사정을 시추하는데 여기서 성공과 실패가 일단 판가름난다. 탐사정 시추를 성공하더라도 이는 완전한 성공을 의미하는 게 아니다.
탐사시추 자료분석을 거쳐 평가정 시추, 매장량 평가, 개발타당성 검토를 다시 거친다. 여기까지 대략 5년 이상이 걸린다. 타당성 검토를 통해 상업성이 확인된다면 개발이 추진되지만, 미달할 경우에는 개발을 포기해야 한다.
이 가운데 탐사 단계에서의 사업 성공률은 통상 15% 수준에 그친다. 그러나 개발 단계에서는 50% 정도로 높아지고, 생산 단계까지 가면 성공률이 80%까지 올라간다. 자원개발에 장기투자를 해야하는 이유다.
이광훈 굿모닝신한증권 애널리스트는 "자원개발은 신약개발과 종종 비교될 정도로 성공 가능성이 낮다"며 "특히 처음부터 시작하는 단계에서는 지질학분석에서부터 시추까지 7년 정도가 걸리고, 이후 생산을 하기까지는 또 3년 이상 걸린다"고 설명했다.
광업진흥공사 관계자는 "해외 자원개발은 규모와 리스크가 큰 사업이어서 국내 개발업체들은 10~20년씩의 장기적으로 투자를 하고 있다"며 "투자자들도 인내를 갖고 꾸준히 기다리면 고수익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협찬 : |
삼성증권, 우리투자증권, 대우증권, 하나대투증권, 굿모닝신한증권 |
현대증권, 교보증권, 한국투자증권, 대신증권, CJ투자증권, 동양종합금융증권 |
미래에셋증권, NH투자증권, 자산운용협회, 증권예탁결제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