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은 15일 개장 전 주목할 만한 뉴스다.
|
-14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장 마감 무렵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12.08포인트(0.78%) 뛴 4만 524.79에 거래 마감.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42.61포인트(0.79%) 오른 5405.97, 나스닥종합지수는 107.03포인트(0.64%) 오른 1만 6831.48에 장을 마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주요 전자제품에 대해 대중 상호관세를 면제하기로 하면서 애플 등 거대 기술기업의 수혜가 예상된다는 전망에 매수 심리가 강해진 영향.
-미국 세관국경보호국(CBP)은 주말 간 트럼프가 부과하는 상호관세 대상에서 제외되는 항목들을 담은 ‘특정 물품의 상호관세 제외 안내’를 공지. 제외 대상은 스마트폰과 노트북 컴퓨터,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칩, 반도체 제조 장비 등.
-다만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도 인터뷰에서 스마트폰과 메모리 칩 등 전자제품에 상호관세를 면제해준 품목과 관련, 면제는 영구적인 것이 아니며 “한두 달 내”로 관세가 부과될 것이라고 밝혀.
트럼프, 자동차 부품 관세 추가 면제 시사
-트럼프 대통령은 14일(현지시간) 일시적인 관세 면제와 관련해 “나는 자동차 업체 일부를 돕기 위한 무언가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혀.
-그는 자동차 회사에 대해 “그들은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생산되던 부품을 이곳에서 만들기 위해 전환하고 있다”라면서 “그러나 그들은 시간이 조금 (더) 필요하다”고 말해.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3일부터 자동차에 대한 25%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어. 다만 엔진, 변속기, 파워트레인 등 핵심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는 다음 달 3일 이전에 발효되는 것으로 돼 있어.
-트럼프 대통령은 애플 제품이나 스마트폰 등이 관세 예외 대상이 될 수 있느냐는 질문에 “나는 내 마음을 바꾸지는 않았지만 나는 매우 유연한 사람”이라고 밝혀. 이어 “어쩌면 뭔가 나올 수도 있다”며 “나는 팀 쿡과 이야기를 했다. 나는 최근에 그를 도왔다. 나는 아무에게도 해를 끼치고 싶지 않다“라고 말해.
美재무 “한국과 내주 무역협상 예정”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이 “한국과 다음 주 무역 협상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14일(현지시간) 밝혀. 베선트 장관은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지난주에는 베트남, 수요일(16일)에는 일본, 다음 주에는 한국과의 협상이 있다”면서 “(협상은) 빠르게 진행될 것”이라고 말해.
-그는 “먼저 움직이는 사람의 이점이 있을 것”이라며 “보통 가장 먼저 협상을 타결하는 사람이 최고의 합의를 하게 된다”고 밝혀. 어느 국가가 미국과 가장 먼저 협상을 타결할 것으로 예상하냐는 질문에는 “그들의 선택”이라고 답해.
- 베선트 장관은 상호관세 90일 유예가 끝나기 전에 협상을 타결할 국가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냐는 질문에 “많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실제의 무역 (협정) 문서가 아닐 수도 있지만 우리는 원칙적인 합의를 할 것이며 거기서부터 앞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혀. 협상을 통해 상호관세를 완전히 없앨 수도 있냐는 질문에 “난 나라들에 ‘당신의 최선의 제안을 가져오라’라고 말한다. 뭘 들고 왔는지 보고 거기서 (협상을) 시작하겠다”고 답해.
美, 반도체·의약품 수입의 안보 영향 조사…관세 부과 수순
-미국 상무부는 14일(현지시간) 반도체와 의약품의 수입을 국가 안보 차원에서 관세 등을 통해 제한할 필요가 있는지 결정하기 위한 조사에 착수.
-반도체 관련 조사 대상에는 반도체 기판과 웨이퍼, 범용 반도체, 최첨단 반도체, 미세전자, 반도체 제조장비 부품 등이 포함, 의약품 조사 대상에는 완제약, 원료의약품(API)과 같은 핵심 원료, 백신과 항생제 등 공중보건위기에 대한 의료 대응책 등이 포함.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와 의약품이 국가 안보에 중요하다면서 미국 내 생산을 장려하기 위해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해와.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후 ‘무역확장법 232조’를 활용해 철강과 알루미늄, 자동차와 자동차부품에 25% 관세를 부과했거나 부과할 예정이라고 예고. 반도체와 의약품에 대해서도 관세 등의 수입 제한 조치를 부과할 가능성이 커.
엔비디아 “美서 4년간 700조원 규모 AI 인프라 생산 계획”
-인공지능(AI) 칩 제조업체 엔비디아는 향후 4년간 파트너사들과 미국에서 최대 5천억 달러(약 700조원) 규모의 AI 인프라를 생산할 계획이라고 14일(현지시간) 밝혀.
-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는 성명에서 “미국 내 제조 역량을 확대함으로써 AI 칩과 슈퍼컴퓨터에 대한 증가하는 수요를 맞추고 공급망을 강화하며, 회복력을 높일 수 있다”고 말해. 엔비디아의 이번 발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 적자를 해소하고 기업들이 제품을 미국에서 생산하도록 하기 위해 교역국을 대상으로 높은 관세를 부과하고 있는 가운데 나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