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은 27일 오전 전경련회관에서 주최한 ‘2021 새로운 한일관계를 위한 양국 협력방안’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허창수 전경련 회장, 김진표 한일의원연맹 대표, 니카이 도시히로 일본 자민당 간사장(영상), 손열 동아시아연구원(EAI) 원장,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 이원덕 국민대 교수, 토요우라 준이치 요미우리신문 서울지국장, 김규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모리야마 토모유키 서울재팬클럽(SJC) 이사장 등 50여명이 방역수칙을 준수하며 오프라인으로 참석했다.
김진표 한일의원연맹 회장은 “한일 정치권이 반일·혐한 감정을 지지층 확보를 위한 정치적 이유로 이용하기도 했다”며 “양국 국민의 이러한 대립적 정서를 누그러뜨려 양국 정책 결정권자가 운신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정치권에서 도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일본 자민당 2인자인 니카이 도시히로 간사장 또한 축하영상을 통해 “최근 한일 양국 관계가 과거사로 인해 어려운 상황이지만 협력이 필요한 분야에서는 교류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한일관계 발전을 위해 △코로나 이전 1천만명을 넘긴 인적교류 복원 △탄소중립 등 ESG(환경·사회·지배구조)분야 협력 △전경련과 일본 경단련 등 민간경제단체 간 교류 강화 등 3가지 협력방안을 제안했다.
이에 허창수 전경련 회장은 “전경련도 일본 경단련 등과 신재생에너지 등 ESG 협력, 4차 산업혁명 기술 교류 등 다방면에서 협력할 수 있도록 민간경제단체로서 노력하겠다”며 “한일관계 악화에 따른 피해는 양국 기업과 국민에게 돌아오고 양국 국익에도 해가 된다”고 강조했다.
외교·정치적 측면의 한일관계 개선방안을 주제로 발표에 나선 손열 동아시아연구원 원장은 “최근 한일갈등은 이익의 충돌이라기 보다는 신뢰의 상실과 감정 대립”이라고 해석했다. 이어 손 원장은 역사문제에 대한 국민 인식 및 한일 간 힘의 균형 등 양국을 둘러싼 환경이 변화해 과거와는 다른 한일관계 재구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다만 한국인의 마음에 와 닿는 일본의 진정한 사죄를 전제로 새로운 한일관계를 구축하고자 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진단하며 앞으로는 양국 간 이슈보다는 미중 초강대국 사이에서 중견국가로서 안보, 생산 및 기술, 디지털무역 등의 분야에서 협력 방향을 잡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일 경제협력 활성화 방향에 대한 주제발표를 맡은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5가지 분야의 양국 경제협력 방안을 제시했다.
구체적으로 △적절한 시기에 한일 상호 백신여권 도입 △트레블버블 협약 체결 추진하고 평균 4년 주기 발생 글로벌 경제위기에 대비한 한일 통화스왑 추진 및 치앙마이이니셔티브(CMIM)실효성 제고 △생산가능인구 감소로 인한 한중일 잠재성장률 급락에 대비한 한일 인력 활용 극대화 방안 마련 및 유럽연합(EU)·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수준 동아시아 경제블록 구축 △4차 산업혁명과 GVC 재편에서 경쟁우위 확보를 위한 협력 △탄소중립에 따른 경제적 충격 최소화를 위한 탄소저감 기술교류 활성화 및 국제 공동대응 등을 제시했다.
|
모리야마 토모유키 SJC 이사장은 “한국에 진출한 일본경제계를 대표해 한국 파트너와 윈윈 관계로 비즈니스를 지속하고 싶지만 일본제품 불매운동 등 감정적 반응이 매우 우려된다”고 말했다.
그는 2020년 아세아·오세아니아 20개국 진출 일본기업 대상 조사에서 흑자회사 비율은 한국이 72%로 1위였지만 사업 확장을 고려하는 회사 비율은 27%로 17위에 불과한 점을 들면서, “한국은 일본 기업에게 있어 지금까지 성공적으로 사업 전개를 해 온 국가이지만 동시에 사업경영이 어려워지고 있는 국가라고 이해된다. 한일관계의 악화도 이유인 것 같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