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김문영관장의 ‘미래G2’ 인도경제 돋보기]인도시장, 14억 아닌 아직은 4억명

김미경 기자I 2020.02.15 22:00:00

④인도인구 1% 1400만달러, 국부 60% 1인 소득 13만달러
인구의 30%인 4.2억명 1인당 평균소득 7000달러
1인소득 2000달러의 평균적 허상서 전략적 접근 필요

[김문영 KOTRA 뉴델리무역관장] 인도 1, 2위 전자상거래 기업 플립카트(Flipkart)와 아마존 인도(Amozon India)의 주 고객은 델리, 뭄바이와 같은 티어(Tier) 1, 2의 대도시 거주자다. 반면 지난해 11월 한국계 큐텐(Qoo10)이 인수한 3위 숍클루(Shopclue)와 물류 자회사 모모에(Momoe)의 주 기반은 Tier 3, 4의 소도시 및 농촌이다.

창립 8년만에 시장가치 200억달러, 가입회원 3억명으로 성장한 인도 최대 유니콘(Unicon)기업 페이티엠(PayTM)의 주 대상은 대도시 및 중견도시다. 2015년 충전식 휴대전화의 잔고 확인 앱(App)으로 출발해 지난해 소매금융 라이선스까지 받은 한국계 스타트업 밸런스히어로(Balance Hero)는 10억명 중·저소득층을 대상으로 1건당 10루피(170원), 20루피(340원)와 같은 소액결제의 다다익선 판매전략을 추구하고 있다.

14억명 인도 인구이지만, 극심한 빈부격차와 1인당 평균 국민소득 2000달러의 인도 시장에서 인도, 외국기업 공히 자사의 시장(구매력) 규모를 얼마로 설정해야 하는가는 향후 성장전망과 함께 해당기업의 마케팅 전략 및 투자계획과 직결된 핵심정보다.

급속한 도시화로 줄어드는 추세이지만 아직도 인도 인구의 2/3는 농촌에 거주한다. 북서부 펀자브(Punjab)주의 대농장과 기계화 영농 등 일부 예외가 있고 개선 추세이지만, 인도 농촌, 농업의 대부분은 8, 9월의 몬순 강우량에 의존하는 천수답 농업 구조다. 정치적 목적 외 현재 인도정부가 농업 종사자에 대해 개인 소득세를 일괄 면제해 주고, 연 4000억달러의 정부 예산의 10% 내외를 농업분야에 투입하고 있는 이유다.

Daily Pioneer, Credit Swiss 등의 자료에 따르면 인도는 러시아 다음으로 소득 및 부의 불평등 문제가 심각하다. 인도의 상위 1%, 10%, 30%가 전체 부의 60%, 80%와 95%를 각각 소유하고 있는데 반해, 하위 50%, 즉 7억 인구가 전체 부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7%에 불과하다.

인도의 뿌리 깊은 지하경제와 분배문제는 개선추세이고, 적어도 향후 10년여 인도의 전체소득과 1인당 평균소득은 7% 전후의 고속 성장세를 지속할 것이다. 실질 구매력 지수로 달러환산 국민소득보다는 실질구매력(PPP) 소득이 더 의미 있다는 지적도 많다. 부의 분포를 소득분포로 일괄 적용하는데 일정 한계가 있다는 얘기다.

그럼에도 위의 수치를 현재의 달러환산 국민소득으로 적용해 보면, 14억 인도 인구의 1%, 즉 우리 인구의 약 30%에 가까운 1400만명 인도인의 1인당 GDP는 13만달러다. 즉 우리나라 1인당 소득 3만달러의 4배 이상의 소득과 부를 가진 인도 상위소득 인구가 싱가포르 인구 700만명의 2배에 달하는 1400만명에 달한다.

상위 10%, 일본 인구보다도 많은 1억4000만 인도인이 연간 약 1만7000달러의 1인당 국민소득 수준에 도달해 있다.

상위 30%인 4억2000만 인구의 1인당 GDP(Gross Deomestic Prodducts)는 7000달러 내외다. 1인당 GDP 7000 달러는 현재의 우리 제품과 기술, 그리고 축적한 노하우와 기술이 통하는 상호 보완영역이라 할 수 있다.

인도를 1인당 평균소득 2000달러의 가난한 나라라는 허상이 아니라, 현재 기준으로도 7000달러 이상의 1인당 평균소득자를 4억명 이상 보유한 핵심 경협(경제협력) 파트너로 보아야 하는 이유다.

◇김문영 코트라 뉴델리무역관장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