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블레임:인류멸망 2011’

경향닷컴 기자I 2009.02.20 12:00:00

 
[경향닷컴 제공] <블레임:인류멸망 2011>은 일본 사회의 공포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지난 95년 일본 사회의 집단 트라우마가 된 옴진리교, 몇 해 전 지구촌을 공포로 몰아넣었던 사스, 조류인플루엔자 등 공포는 바로 우리 옆에서 옥죄고 있음을, 그리고 언제 터지질 모르는 폭탄을 끼고 살아가고 있다는 메시지를 전한다.

도쿄의 한 시립병원에서 근무하는 마츠오카(츠마부키 사토시)는 고혈증세 환자를 단순 감기로 진단한다. 이튿날 이 환자는 피를 토하면서 죽고, 이 환자를 치료했던 동료의사도 감염돼 죽고 만다. 병원은 일순간 공포의 도가니로 변하고, 일본 정부는 병원을 격리조치하기로 한다.


그렇지만 전국에서 같은 증세를 호소하는 환자들이 속출하자 일본 사회는 일대 혼란에 빠진다. 츠요시의 옛 애인이자 WHO 메디컬 담당자인 에이코(단 레이)는 마츠오카와 함께 원인을 찾으려고 하지만 이 바이러스가 어디서 어떻게 생겨나 퍼졌는지, 어떻게 감염되는지조차 규명하지 못하고 우왕좌왕한다.

눈에 보이지도 않고, 만질 수도 없는 바이러스 공포에 인간은 속수무책이다. 에블라를 능가하는 ‘죽음의 전염병’ 치사율에 사람들의 불안은 극한을 치닫는다. 살기 위해 물건 사재기에 나서고, 감염을 피해 살던 곳을 팽개치고 떠나간다. 도시 기능은 마비되고, 사회의 믿음은 붕괴된다. 사람들은 손을 놓고 죽음의 그림자를 기다리는 수밖에 달리 할 일이 없다. 죽음의 순간에 어떤 것도 할 수 없다는 무력감은 더 한 공포의 수렁으로 밀어 넣는다.

영화에서는 바이러스가 인간과 같다고 말한다. 싫다고 숙주를 죽여 버리면 자신이 죽는 것처럼 파괴만 일삼는 인간에게 바이러스는 무서운 천형으로 다가온다. 바이러스는 가지를 치듯 차례로 감염된다. 폐허가 된 일본. 그곳은 더 이상 인간이 살 수 없는 죽음의 땅이 되고 만다. 그리고 소중한 사람을 잃은 곳에서는 더 이상 희망의 빛을 발하지 않는다.

하지만 영화는 이 대목에서 역설적으로 마지막 희망을 던진다. 그것은 인류멸망이라는 비극적 운명 앞에서 자신보다 남을 위해, 한 사람의 생명이라도 더 살리기 위해 애쓰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전면에 내세운다. 감염의 위험을 무릅쓰고 끝까지 남은 간호사(쿠니나카 료코)와 엄마를 그리워하는 어린 딸의 에피소드, 여자친구를 위해 폐허가 된 도시로 다시 돌아온 소년의 에피소드는 ‘그래도 사람이 꽃보다 아름다운 이유’를 여실히 말해준다.

영화는 후반부에 바이러스의 출현이 조류 인플루엔자나 변형 바이러스 때문에 아닌 자연과의 불화에서 비롯됐다고 언급한다. 인간의 삶이 복잡하면 복잡한 변종이 나타난다. 그리고 그 변종은 진화한다. 오늘날 환경문제가 특정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전 세계적인 현상으로 나타나는 것처럼 일본을 휩쓴 ‘죽음의 바이러스’는 희망의 메시지를 주지 않고 암흑으로 물들이며 막을 내린다. 26일 개봉.


▶ 관련기사 ◀
☞''더 레슬러'', 80년대 대표 ''꽃남''의 눈부신 재기작
☞다코타-엘르 패닝 자매, 연이어 극장가 점령
☞''B급 신주류'' 제이슨 스태덤 vs ''블레이드'' 웨슬리 스나입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