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에 따르면 미 국무부 한 관리는 “만약 중국이나 기타 국가가 우리 제재에 해당하는 활동에 연루되려 할 경우 그들 또한 우리 제재 대상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과 유럽은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스위프트)의 국제결제망에서 러시아 주요 은행들을 퇴출하기로 했다. 또한 러시아를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몰아내고 미국의 기술, 핵심부품 유입을 차단하는 수출규제까지 가했다.
|
러시아가 SWIFT에서 퇴출된 후 중국과 위안화 거래를 늘릴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전날 중국 관영 환구시보는 “러시아 자체 결제 시스템인 러시아금융통신시스템(SPFS)과 중국 자체 국제결제망(CIPS)이 연결돼 있다”면서 “CIPS가 SWIFT의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제재에 부닥친 러시아를 경제적으로 지원하라는 지시를 내렸다는 일본 요미우리신문의 보도도 있었다.
중국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해서는 중립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지만 서방국의 대러제재와 관련해서는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다. 왕원빈(汪文斌)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전날 SWIFT 제재에 대해 “중국은 제재를 통한 문제 해결에 찬성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다만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한 국제여론을 고려했을 때 중국이 공개적으로 러시아를 돕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러시아와의 관계도 중요하지만 중동, 유럽 등 주변국과의 관계도 유지해야 하는 상황이다.
미 당국자들은 이번 대러제재가 중국에 대한 일종의 경고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중국이 대만을 무력 공격하면 어떤 대기를 치러야 하는지 보여준 것이란 의미다.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대만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이 커진 상태다.
또한 미 당국자들은 미국이 이번 우크라이나 사태를 계기로 중러 연대를 희석하려는 목적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이 러시아 지원을 줄여 이번 사태에서 러시아가 더 고립된다면 양국 협력이 다른 부문에서도 약화할 것이란 전망에서다.
중국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관련해 주권과 영토보존을 강조해 국제법 준수 입장을 강조하면서도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NATO)의 동진 반대 등도 함께 동조하며 외교적으로 애매한 상황이다. 그러면서 사태가 대화를 통해 해결돼야 한다는 촉구를 되풀이하고 있다.
중국은 지난 25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의 규탄 결의안에도 반대표를 내지 않았다. 인도, 아랍에미리트(UAE)와 함께 기권표를 던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