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규 약물을 발굴하려면 질병의 원인이 되는 표적 단백질에 결합하는 분자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기존 약물 설계 생성형 AI는 특정 단백질의 이미 알려진 활성 데이터를 학습에 활용하기 때문에 기존 약물과 유사한 약물을 설계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는 신규성이 중요한 신약 개발 분야에서 약점으로 지적돼 왔고, 사업성이 높은 표적 단백질에 대한 실험자료도 적어 기존 방식의 생성형 AI를 활용하기 어려웠다.
연구팀은 데이터 의존성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단백질 구조 정보만으로 분자를 설계하는 기술 개발에 주목했다. 표적 단백질의 약물 결합 부위에 대한 3차원 구조 정보를 주형처럼 활용해 해당 결합 부위에 맞는 분자를 주조하듯 설계하는 방식이다.
특히 연구팀은 신규 단백질에 대해서도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분자를 설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 데 초점을 뒀다.
또 설계한 분자가 단백질과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단백질과 분자 간 상호작용 유형이 핵심 역할을 하는 것에 착안했다. 연구팀은 생성형 AI가 이러한 상호작용 패턴을 학습하고, 분자 설계에 직접 활용하도록 모델을 설계하고 학습시켰다.
기존 단백질 구조 기반 생성형 AI 모델들은 10만개에서 1000만개의 가상 자료를 활용하는 반면 이번 연구에서 개발한 모델은 수천개의 실제 실험 구조만을 학습해도 높은 성능을 발휘했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의 올해 3월 15호에 게재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