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 대통령은 “챗GPT를 필두로 한 생성형 AI(인공지능)의 등장은 삶의 편의와 산업의 생산성을 높여주고 있으나, 한편으로 인공지능의 신뢰와 안전에 대한 글로벌 차원의 우려도 많다”면서 “디지털 권리장전을 통해 만들어 갈 미래사회는 디지털 향유권이 인간의 보편적 권리로 보장돼 누구나 그 혜택을 마음껏 누릴 수 있는 사회”라고 강조했다.
미국, 유럽연합(EU), 중국 등 주요국들이 각기 다른 수준과 방식으로 디지털 규범 정립에 접근하는 경쟁적 상황에서, 우리나라가 새로운 ‘룰 세팅’에 앞장서서 우리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표준을 만드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게 대통령실 설명이다.
이에 윤 대통령은 지난해 뉴욕 구상을 발표한 이후 다보스 포럼을 비롯해 지난 4월 하버드대, 지난 6월 파리 소르본대 등에서 다양한 인사들을 만나 새로운 디지털 질서에 대해 논의해 왔다. 지난 한-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정상회의에서도 아세안 국가들의 디지털에 관한 공정한 접근과 후생 증진을 위해 3000만 달러(한화 약 400억원) 규모의 ‘디지털 혁신 플래그십 프로젝트’를 추진하기로 했었다.
그 일환으로, 같은 날 한국 연구진과 뉴욕대는 ‘한-미 AI 디지털 비즈니스 파트너십’을 체결하기도 했다. AI 강국인 한국과 미국이 AI 분야에서 인력 양성부터 연구개발, 사업화까지 전주기에 걸친 협력의 통로를 마련했다는 의미가 있다. 한국 연구진으로는 카이스트, 정보통신기획평가원, 소프트웨어산업협회 3개 기관이 참여한다.
윤 대통령은 “AI와 디지털은 그 자체로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한편, 다른 기술과 산업과 결합해 맞춤형 부가가치와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기반 기술로서의 중요성도 매우 크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