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컨대 양대 정당에서 각자 운영했던 청년비례대표 제도 같은 경우 청년비례대표를 지낸 사람이 그 다음 단계로 지역구에 도전해서 통과한 사례가 없다는 것이다. 그냥 자리 나눠주기에 불과한 것이냐, 아니면 진짜 오래 남을 수 있는 정치지도자를 선택하는 방식이었는지는 평가해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당 지도부 배려로 온실에서 키워질 게 아니라 현장에서 극복하고 돌파해 나가야 자생력과 지속력이 있다는 것이다. 또 할당제의 경우 의정활동시 당내 발언권에 있어서도 제약이 따른다고 이 후보는 지적했다.
국회 진입 문턱을 낮추기 위해 할당제가 도입된 것이 아니냐는 질문에는 “모든 지역구에서 경쟁할 때 여성과 청년이 불리함이 있다면 그 차별을 없애는 것이 중요하다”고 답했다.
그는 “예를 들어 지역에서 유권자 관리를 할 때 돈 쓰고 시간 써가면서 술자리를 찾아가는 것들이 여성과 청년 입장에선 하기 힘든 부분이기 때문에 이런 유권자 문화를 바꾸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실제 할당으로 비례대표 몇 자리를 여성과 청년에게 준다고 해서 여성과 청년의 대표성이 높아진다고 보지는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 후보는 당권 경쟁자인 나경원 후보가 전날(2일) 자신을 향해 청년비상대책위원 몫으로 지난해에 공천을 받은 사람이라고 지적한 것에 대해서도 반박했다.
이 후보는 “청년비상대책위원이란 건 따로 존재하지 않고 비상대책위원 같은 경우 비상대책위원장이 그냥 선임하는 것이기 때문에 제도적 할당이 아니다”라고 했다.
이어 “할당이란 것은 유리한 지역구에 선임되는 것이다. 제가 계속 공천을 신청하고 선거를 하고 있는 서울시 노원구 상계동 같은 경우는 사실 자원자가 없다고 할 정도로까지 어려운 지역구다. 이걸 할당제 사례로 적시하는 것은 매우 부적절하고, 갖다 붙이기 아니냐는 생각이 든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