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X공간정보연구원(원장 손종영)이 중소기업벤처부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을 공동투자하여 ‘5G 확장형 양자암호융합 2kg급 VTOL 드론 개발’사업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27일 LX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대회의실에서 ‘디지털 국토의 첫걸음, LX드론’을 슬로건으로 ‘5G 확장형 양자암호 융합 2kg급 VTOL 드론’ 개발을 위한 착수보고회를 개최한다.
착수보고회에는 LX공간정보연구원 손종영 원장을 비롯해 관련 부서장과 대한민국 육군, 전북대, 동강대, 강원도 농업기술원, 삼척시 농업기술센터, 조달연구원, (사)미래농업포럼, WorldBank, SK텔레콤, Ericson-LG, Element-AI 등 국내외 산ㆍ학ㆍ연ㆍ관의 각계 전문가 3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수직이착륙(VTOL) 드론 개발은 LX한국국토정보공사와 중소기업벤처부가 투자하여 LX공간정보연구원이 주관한다.
드론개발 전문업체인 ㈜제이디랩과 5G·LTE·WMN(Wiress Mesh Network·인프라 없이 단말간 멀티 홉 네트워킹을 수행하는 통신망)및 항재밍(위성항법 수신기로 유입되는 간섭 및 재밍신호를 효율적으로 제거 또는 억압하는 기술)전문업체인 ㈜지이랩 및 관제시스템 개발기업인 ㈜대호이엔지가 참여한다.
사업개발 내용은?
주요사업 내용은 ▲국토정보의 보안성 강화를 위한 해킹 방지가 가능한 양자암호·KCMVP KCMVP(Korea Cryptographic Module Validation Program)와 ▲ 5G·LTE·WMN 기술 등을 적용한다. 또한, ▲61MP 고해상도 센서, RTK(Real-Time Kinematic·드론이 현장 사진을 촬영할 때, 실시간으로 위치정보를 보정하는 기술)·항재밍 등을 포함한다.
해당 기체로 수집된 초정밀 영상 이미지는 작물 생육 예측은 물론, 병해충 예찰 분석 서비스 분야로까지 활용범위가 확장될 것으로 보인다. 데이터 수집과 인공지능 분석 과정에서 농업현장의 전문지식을 활용해 3개 기관이 긴밀히 협력할 계획이다.
|
손종영 LX공간정보연구원장은 “디지털 뉴딜의 핵심기술인 드론, 빅데이터, ICT기술(양자암호, 5G, 항재밍 등), 실시간 관제 등과 융합된 이번 개발사업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어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디지털 국토 완성에 이바지할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