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상행정' 명동 버스대란…오세훈 "시민 의견 따라 개선"(종합)

양희동 기자I 2024.01.07 15:50:50

국토부 업무편람 맞춰 작년 말 '줄서기 표지판' 설치
모의실험 안거쳐 버스 줄 잇는 '열차현상' 예측 못해
오세훈, 6일 폭설 속 현장 점검…사과 및 개선 약속
노선 이달말까지 조정…日탑승 '9500→5800명' 40%↓

[이데일리 양희동 기자] “좀 더 신중하게 일을 했어야하는데 추운 겨울에 새로운 시도를 해 많은 분들에게 대기시간이 길어지며 생기는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탁상행정’ 논란이 불거진 서울 명동입구 광역버스 정류소 인근 교통대란과 관련해 오세훈 서울시장이 시민 불편에 대해 사과하고 대책 마련을 약속했다. 오세훈 시장은 지난 6일 서울지역에 대설주의보로 굵은 눈발이 날리는 가운데 오후 7시께 직접 현장을 찾아 “안전 문제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은 만큼 실제 이용하는 시민 의견을 청취해 안전과 편의를 위한 보완책을 조속히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광역버스의 도심 진입 및 노선 집중 상황의 해소를 위해 국토교통부 대도시광역교통위원회(대광위), 경기도 등과 협의를 진행하고 이달 말까지 시행할 계획이라고 7일 밝혔다.

오세훈 시장이 지난 6일 명동입구 버스정류장을 찾아 현장 점검을 하고 있다. (사진=서울시)
이번 교통대란의 원인으론 서울시가 지난해 12월 27일부터 설치·운영한 ‘줄서기 표지판’이 지목된다. 서울시는 당초 운수회사에서 정류소 바닥에 12개 노선만 임의로 노선번호를 표시해 △노선번호 확인이 어렵고 △버스 승차를 하려는 승객 간 충돌이 우려되며 △정차 위치가 아닌 곳에 버스가 정차하는 등 안전상 문제 등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에 시는 13개 노선을 추가해 총 25개 광역버스 노선의 줄서기 표지판을 설치했다.

현재 명동입구 광역버스 정류소에는 총 29개 노선이 정차, 하루 탑승객이 약 9500명에 이른다. 특히 약 35m의 협소한 정류소 공간에 많은 노선과 승객이 밀집, 광역버스가 정차면까지 진입하지 못하고 정류소 전·후방에 임의로 정차할 수밖에 없는 경우도 생겨왔다. 이런 상황에서 서울시가 줄서기 표지판을 설치하면서 ‘서울역~명동입구’ 구간에선 버스가 꼬리에 꼬리를 물고 늘어서는 ‘열차 현상’이 가중됐고 탑승객들의 대기 시간은 기존보다 2~3배 늘어나는 등 퇴근길 교통대란이 발생한 것이다.

줄서기 표지판 설치 전 모의실험 등을 거치지 않은 ‘탁상행정’이란 지적에 대해 서울시 관계자는 “국토교통부 업무편람의 버스 대기·탑승 시간 기준을 반영해 줄서기 표지판을 설치했다”면서도 “이 정도로 혼잡이 심해질 것은 예상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서울시의 초기 대처가 논란을 키웠다는 지적도 나온다. 시는 이달 4일 명동입구 교통대란에 대해 “근본적 정체 원인은 서울 도심에 지나치게 많은 광역버스 노선이 진입하고 있는 것”이라며 책임 회피성 해명을 내놓은 바 있다. 또 문제가 된 줄서기 표지판에 대한 조치 여부는 밝히지 않아 비판이 이어지기도 했다.

서울시는 수원·용인 등 6개 노선의 경우 8일 즉시 경기도에 공문을 발송, 대시민 안내 및 운수종사자 교육 등 2주 계도기간을 갖고 1월 넷째주까지 노선 조정을 완료할 방침이다. 노선 조정이 이뤄지면 명동입구 정류소 이용 일일 탑승객 수는 현재 9500명에서 5800명까지 약 40% 감소할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줄서기 표지판 시행 유예 기간인 8일부터는 매일 오후 5시~9시, 교통계도요원 3명을 현장에 투입한다.

서울시는 줄서기 표지판 유예기간 이후에도 시민이 원하지 않으면 12개 노선만 정류소 바닥에 표시하는 원래 방식대로 되돌리는 방안까지 검토하기로 했다. 오세훈 시장은 6일 현장점검에서 서울시 홈페이지 등을 통해 시민 의견을 들어 보완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시민 의견을 최우선으로 줄서기 표지판 원상복구를 포함해 종합적으로 검토하기로 했다”며 “명동입구 뿐 아니라 강남역 주변 등 광역버스로 인해 교통정체, 시민안전 등이 고질적으로 우려되는 지역의 교통흐름을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자료=서울시)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