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산포 홍어
홍어의 고향은 흑산도지만 '삭힌 홍어'를 낳은 건 영산강이다.
홍어의 본산 흑산도에서는 본래 홍어를 삭히지 않았다. 갓 잡은 홍어를 회로 먹었다. 흑산도에서 유배생활을 하며 '자산어보(玆山魚譜·'현산어보'라고 읽어야 한다는 주장도 있음)'를 쓴 정약전은 "나주 가까운 고을에 사는 사람들은 홍어를 썩혀서 먹는 것을 좋아하니 지방에 따라 음식을 먹는 기호가 다름을 알 수 있다"고 적었다.
|
삭힌 홍어가 나오게 된 건 왜구 때문이다. 고려 말 흑산도 일대 섬들은 왜구에 시달리기 일쑤였다. 정부는 '공도(空島)'정책을 실시한다. 섬 주민들을 뭍으로 이주시키고 섬을 텅 비우는 정책이었다. 흑산도 사람들은 배를 타고 목포를 거쳐 영산강을 거슬러 나주에 많이 정착해 살다가 왜구가 잠잠해지면 다시 흑산도로 돌아가곤 했다. 영산강(榮山江)이라는 이름도 흑산도에 있던 영산현(永山縣)에서 왔다고 '신증동국여지승람'은 전한다. '영산(永山)'이 '영산(榮山)'으로 잘못 기록되면서 굳어졌다는 것이다.
흑산도에서 영산강을 거슬러 나주 영산포에 닿으려면 열흘에서 보름이 걸렸다. 냉동기술이 없던 시절 다른 고기는 썩었지만 홍어는 썩지 않고 발효가 됐다. 이렇게 삭힌 홍어가 나오게 됐고, 나주와 인근 지역에서 별미로 즐기게 됐다.
홍어를 좋아하는 건 같지만 지역에 따라서 먹는 방법은 조금씩 다르다. 영산포 '홍어1번지' 주인 안국현(52)씨는 "나주에서는 초장에 먹지만 함평과 영암에서는 소금을 찍어 먹는다"고 했다. 나주 초장은 초고추장이 아니라 된장에 고춧가루와 식초를 섞는다는 점이 특징이다. 흑산도에서는 막걸리식초에 소금과 참기름, 쪽파나 풋마늘 따위를 더한 '초된장'에 먹기도 한다.
방조제가 강물을 막으면서 영산포의 영화는 과거가 됐다. 하지만 수백 년 동안 체득한 홍어 숙성 노하우는 사라지지 않았다.
안국현씨는 "전국에 유통되는 홍어의 70%는 나주 것"이라고 했다."원래 겨울에는 15~20일 발효시키고, 여름에는 사흘에서 일주일 숙성시켜요."
흔히들 수입 홍어는 대부분 칠레산으로 알지만 요즘은 수입선이 다양하다.
"요즘은 포클랜드, 우루과이, 아르헨티나,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도 홍어가 와요. 칠레산은 15~16%밖에 안 돼요. 칠레산이 수입산 중에서는 나은 편이고요."
나주에서는 대개 섭씨 6도에서 홍어를 숙성시킨다. 목포 등 다른 지역에서는 2도가 일반적이다. 빨리 발효되면 물이 덜 빠져 물렁물렁한 '물홍어'가 된다. 온도 변화가 가능한 한 없는 곳에서 낮은 온도에서 천천히, 공기가 들어가지 않게 밀폐시켜 발효해야 제대로 숙성된다고 한다.
"신선하고 크기가 적당해야 해요. 큰 건 12㎏까지 하는데, 크기만 하지 질겨요. 5㎏에서 10㎏ 사이가 횟감으로 제일 맛있고, 그 밑으론 부드러워서 무쳐 먹어야 맛있죠."
영산포 '홍어의 거리'에는 홍어전문점 10여 곳이 옛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홍어1번지에서는 홍어찜·삼합·회는 칠레산 2만·3만원, 흑산도산 4만·6만원. 홍어전과 홍어튀김은 1만원인데, 이 식당에서 개발했다는 홍어튀김이 독특하다. 얇은 튀김옷을 깨물면 뜨거운 김과 함께 홍어 냄새가 입 속에서 터지면서 코까지 뻥 뚫리는 느낌이다.
::: 달콤함과 훈제향, 입에서 '사르르' 녹는다
● 구진포 장어
"구진포라는 이름 하나로 먹고 살재. 특별한 것은 없어요. 옛날에는 구진포에서 자연산 장어를 잡았지요. 이제는 강이 오염돼 가지고 자연산이라고 팔 수도 없어요. 농사 짓기도 힘들 정도로 오염이 되어버렸단디."
|
구진포 '대승장어' 주인 김용해(64)씨는 솔직했다. 영산강의 오염이 감출 수 없을 만큼 알려진 사실인지도 모르겠다. 나주 구진포는 영강동과 가운리의 경계에 있다. 1940년쯤부터 장어집이 들어서기 시작했고, 지금은 10여 곳이 영업하고 있다. 주변 양식장에서 키운 장어를 쓴다.
특별할 것 없다지만 김용해씨의 장어 굽는 솜씨가 예사롭지 않다. 장어를 반으로 가르고 뼈를 제거한 뒤 석쇠에 올린다. 거의 다 익을 때쯤 장어를 집게로 집어서 양념장에 휙 담갔다가 다시 석쇠에 놓는다. 집게로 뒤집고 붓으로 양념장 찍어 바르기를 여러 차례 반복한다.
장어 굽기 마지막 단계가 특히 독특하다. 설탕을 장어 위에 솔솔 뿌리더니 불에 녹아 갈색으로 변하도록 구워 낸다. 뜨거운 불길에 캐러멜화(caramelize)된 설탕이 훈제향과 단맛을 장어에 더한다. 다른 곳에서는 볼 수 없는 조리법이다.
'5미'가 아니라 '4미' 장어를 쓴다는 점도 서울 등지와 다르다. 서울 장어집들은 대개 "5미가 크지도 작지도 않아 가장 알맞다"고 말한다. '미'란 1㎏당 장어가 몇 마리냐는 뜻이다. 5미 장어란 1㎏이면 다섯 마리 그러니까 1마리당 200g짜리. 4미면 1㎏ 4마리에 마리당 250g이 나가는 셈이다.
장어는 미리 굽지 않고 손님이 오면 굽는다. 대부분 장어집은 장어를 미리 초벌구이 해뒀다가 주문이 들어오면 살짝 재벌구이 해 낸다. "구워 놓으면 상품가치가 떨어저부러. 맛이 떨어저부러. 초벌구이 안 해둬요. 얇디 얇아져 버려요."
조금 기다리는 단점은 있지만 이렇게 구운 장어는 뜨겁고 촉촉하고 부드럽다. 너무 짜지도 달지도 않다. 양념장이 느껴질 듯 말듯 장어의 느끼함만을 억제할 정도로 가볍다. 장어구이 1인 1만5000원, 장어구이정식 1만6000원, 장어탕 6000원. '내장구이'도 구진포에서만 맛볼 수 있는 별미다. 장어 내장을 프라이팬에 기름을 튀기듯 듬뿍 붓고 볶아서 초고추장과 함께 낸다. "딴 데는 안 합디다. 손질 귀찮아서 그런지? 장어는 피하고 껍질만 빼고 버릴 것이 없어요."
>> 나주 더 즐기려면
● 화탑마을 한우직판장_엄청 싸다. 화탑마을과 나주 인근에서 키운 한우 암소만 쓴다. 그런데도 한 근(600g)에 등심 2만9000원, 치맛살 3만원, 살치살 3만5000원, 갈빗살 3만8000원. 생고기(2만원)는 차지다. 600g 단위로만 판다. 쌈채소, 기름소금 등 '상차림'도 600g당 5000원씩 받는다. 매월 둘째 화요일 쉰다.
|
● 금광토굴_일제 때부터 1980년대까지 금을 캐던 광산에서 젓갈을 숙성시킨다. 육젓·추젓·오젓 등 새우젓과 멸치젓, 황석어젓, 밴댕이젓, 이것저것 뒤섞은 잡젓 등 다양하다. 1㎏ 기준 육젓 1만원, 오젓 7000 ~8000원. 나주시 공산면 신곡리 123-9, (061)335-5582
● 불회사_고즈넉한 '절집 분위기'가 좋다. 절 입구 돌장승이 민화 속 호랑이처럼 익살맞다. 덕룡산 중턱에 있다. 나주시 다도면 마산리 999, (061)337-3440
● 천연염색문화관_쪽 염색 과정을 자세하게 배우고 체험할 수 있다. 천연염색 손수건 3000원, 스카프 1만원(예약 필수). 나주시 다시면 회진리 163, (061)335-0091, www.naturaldyeing.or.kr
● 목사내아_조선시대 나주목사가 머물던 관사. 나주시가 최근 고택체험이 가능하도록 군불을 땔 수 있는 온돌방으로 바꾸고 샤워장과 화장실 등을 설치했다. 내년 중 일반인에게 개방할 계획이다. 나주시 금계동 33-1. 문의 나주시 문화관광과 (061)330-8712
☞ 가는 길 호남고속도로~광산IC~13번 국도~나주, 서해안고속도로~함평IC~나주.
☞ 여행 문의 나주시 문화관광과 (061)330-8108, www.naju.go.kr
▶ 관련기사 ◀
☞삼겹살과 짚불… 1분 52초의 열애
☞영산강 따라 식욕이 흐른다
☞천년 동안 사무친 그리움 - 월악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