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5일 서울시 소방재난본부가 발표한 ‘최근 3년간 화재 및 인명피해 통계’에 따르면 2015∼2017년 화재 사상자는 사망 104명, 부상 704명 등 총 808명으로 집계됐다. 연도별로는 2015년 249명, 2016년 276명, 지난해 283명 등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이 가운데 사망자는 2015년 27명, 2016년 40명, 지난해 37명이었다.
재산 피해는 2015년 143억 3000만원, 2016년 141억 2000만원, 지난해 153억 3000만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화재 유형별로 사망자를 보면 방화(방화 의심 포함) 33명(31.7%), 부주의 20명(19.2%), 전기적 요인 16명(15.4%), 가스누출 1명(1%), 원인미상 34명(32.7%)이었다. 원인미상을 제외하면 방화로 인한 사망자가 가장 많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방화는 휘발유나 시너 등 가연성 액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불이 빨리 번져 대피가 어렵다”며 “방화 피의자들에게는 주변인을 대피시킬 의지가 없다는 점도 인명피해가 큰 이유”라고 분석했다.
사망의 원인은 유독가스 연기흡입을 동반한 화상이 76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화상 17명, 피난 중 뛰어내림 5명, 복합 원인 3명, 넘어지거나 미끄러짐 1명, 기타 1명, 미상 1명 등으로 각각 집계됐다.
장소별로 따져보면 사망자의 대부분인 79명(76%)이 주거시설에서 희생됐다. 주거 형태는 단독주택이 43명(54.4%)으로 가장 많았고, 공동주택 34명(43%)·기타 2명(2.5%) 순이었다.
계절별로는 겨울 36명(34.6%), 봄 29명(27.9%), 가을 27명(26%), 여름 12명(11.5%)으로 각각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50대 희생자가 29명으로 최다였다.
시간대별로는 0∼오전 2시가 16명(15%), 오후 10∼0시와 오전 4∼6시가 각각 11명(10.6%)으로 분석되는 등 오후 10시부터 익일 오전 6시 사이에 48명(46.1%)이 숨졌다.
정문호 서울시 소방재난본부장은 “화재 인명피해는 주로 주택에서 발생한다. 주택화재 인명피해 예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거주자의 초기화재 대응이 매우 중요하다”며 “주택의 경우 화재발생 사실을 알려 주는 단독경보형감지기와 거주자가 초기화재 진화에 유용한 소화기를 반드시 비치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