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無공장 제조 확산..무협 "국내 中企도 전략적 도입 필요"

성문재 기자I 2015.04.05 11:39:19

가전,IT,의류,식품 등 분야 가치 창출 가능
상품기획, 디자인 등에 집중해 제품 차별화

[이데일리 성문재 기자] 글로벌 네트워크 생산 모델이 확산되면서 상품 기획, 연구·개발(R&D), 디자인 등에 역량을 집중하고 제조는 외부 생산 시설을 활용하는 무(無)공장 제조업체가 점차 확산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5일 ‘무공장 제조업체의 부상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부품의 모듈화 및 표준화 진전, 3D 프린팅 등 제작도구 보급, 제조 전문기업 인프라 확산 등으로 무공장 제조방식이 점차 확대 중”이라며 “우리 중소기업들도 제품 경쟁력 강화를 위해 무공장 제조 방식을 전략적으로 활용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2002년과 2012년 사이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 500대 기업 내 제조업체 수는 239개에서 225개로 감소했지만 무공장 활용기업의 수는 67개에서 105개로 크게 늘었다.

해외 無공장 제조기업 사례(자료: 한국무역협회)
무공장 제조기업은 외부 생산 자원을 활용한다는 측면에서 아웃소싱 전략의 하나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과거 아웃소싱 활용 동기가 비용 절감을 위한 것이었다면 최근에는 상품기획, R&D 등에 집중하는 ‘제조업의 서비스화(Servitization)’ 관점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 무협의 설명이다.

보고서는 대기업에 비해 자원이 부족한 국내 중소기업들도 자사의 핵심역량을 잘 고려해 무공장 제조 전략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전기전자(가전), IT, 의류, 식품 등 기술격차가 크지 않고 부품 모듈화가 상당부분 진전된 분야일수록 기존 기술과 부품을 다른 방식으로 조합해 새로운 가치 창출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국제무역연구원 관계자는 “국내 무공장 제조업체들이 주로 △해외 생산공장에 대한 체계적 정보 부족 △해외 생산 공장의 관리 어려움 △제조시설 미등록에 따른 지원 배제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에 제조업 트렌드를 고려한 정부의 장기플랜이 요구된다”며 “해외 생산시설과 국내 무공장 제조기업과의 매칭 수준을 높이는 체계적 정보·매칭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무공장 기업이더라도 생산 네트워크를 보유한 경우 지적 재산권을 제대로 평가해 기존 제조업 수준으로 지원하는 탄력적 지원체계 역시 마련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기술수준별 제조 아웃소싱 사례 구분(자료: 한국무역협회)
▶ 관련기사 ◀
☞ 이란 핵협상 잠정타결..무협 "對이란 수출·진출 가속화"
☞ [포토]무협 등 경제5단체-외교부 공동 '재외공관장 초청 상담회'
☞ 훌쩍 커진 中 소매시장..무협 "15개 소비트렌드 공략해야"
☞ 무협 "올 2분기 수출경기 회복..가전·무선통신기기 호조"
☞ 김인호 무역협회장 "모든 문제의 해답은 시장에 있다"
☞ [포토]김인호 무협회장 취임 첫 기자간담회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