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은행에서 입출금" 오프라인 오픈뱅킹 대안되나…'공동점포' 하세월

김나경 기자I 2024.11.27 07:27:19

5년간 銀 점포 1189개 문 닫았는데
비용분담·지역선정 입장차에 공동점포 하세월
‘고령층도 손쉽게 이용’ 영업점 오픈뱅킹 대안으로
銀 전산개발 마무리...내년 서비스 예정
이복현 “銀 점포폐쇄 대체수단 활성화” 지적

[이데일리 김나경 최정훈 기자] 최근 5년간 1189개 은행 점포가 자취를 감춘 가운데 은행권 공동 점포·ATM 설치는 좀처럼 속도가 붙지 않고 있다. 비용분담과 관리주체 등을 정한 가이드라인이 없어 설치할 때마다 각론을 조율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 한 은행 지점에서 다른 은행 입출금·송금 업무를 볼 수 있는 오프라인 오픈뱅킹이 금융소비자 접근성을 높일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그래픽=이데일리 김정훈 기자]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연합회와 주요 은행들은 27일 은행 점포폐쇄 대안 마련을 위한 첫 회의를 개최한다. 담당 부서 실무진이 공동 점포·ATM 설치 활성화 방안을 논할 예정이다. 은행이 머리를 맞대는 건 영업점 폐쇄 속도가 빨라지는 와중에 공동으로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다. 5년간 문을 닫은 은행 점포는 1189개에 달하지만 공동 점포·이동 점포는 24개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은행 대면 거래 비중이 여전히 45%로 높은 상황에 금융소비자 접근성이 떨어지는 이유다. 대면 거래 수요를 맞출 수 있는 은행권 공동 점포는 은행 간 견해 차이로 설치까지 긴 시간이 걸리고 있다. 국민·신한은행이 경기 양주·경북 영주에서, 하나·우리은행이 경기 용인에서 공동 점포를 운영하고 있지만 손에 꼽는 수준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예를 들어 강원 고성에 공동 점포를 설치하면 어느 은행의 지점에 들어갈지, 임차료 부담은 어떻게 할지, 관리주체는 어떤 은행으로 할지 등 조율이 필요하다”며 “세부 사안에 대한 은행 간 견해차로 빠르게 진행하기 어려운 상황이다”고 말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여러 은행과 점포 폐쇄 현황을 공유하고 공동 점포를 설치할 지역을 협의해야 한다”며 “지역 선정부터 개설 비용까지 부담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실질적인 어려움이 있다”고 전했다.

상대적으로 은행 부담이 적은 공동 ATM은 설치가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 은행연합회는 이날 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이 참여하는 공동ATM을 경북 청도시장에 추가 운영한다. 지난 9월 말 강원 삼척중앙시장에 공동ATM을 설치한 지 두 달만으로, 앞으로 전북 부안군·충남 태안군 전통시장에도 설치할 예정이다. 이런 상황에 한 은행에서 다른 은행 업무를 볼 수 있는 ‘영업점 오픈뱅킹’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은행 간 각론 조율이 필요한 공동 점포와 달리 전산 개발만 되면 시행할 수 있어서다.

예컨대 신한은행 고객이 농협은행 창구에 가서 신한은행 계좌 돈을 찾고, 농협은행 보통예금 통장으로 입금할 수 있는 서비스로, 현재 활성화한 모바일 오픈뱅킹의 오프라인 버전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기존 오픈뱅킹 협약을 맺은 10여 개 은행이 지난 2월부터 태스크포스(TF)를 꾸려 계속 회의를 하고 있다”며 “금융소외계층이 대면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고 설명했다.

금융위원회·금융결제원을 주축으로 각 은행이 참여하는 TF에서 애초 12월 말 시행키로 했는데, 구체적인 이행 시기는 정해지지 않았다. 은행들은 금융결제원의 공지에 맞춰 영업점 오픈뱅킹 전산·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영업점이 많은 은행의 수신영업에 유리하다고 분석한다. 오픈뱅킹을 하려면 방문하는 영업점 입출금계좌가 있어야 하기 때문에 입출금계좌 개설이 늘어날 수 있어서다.

금융당국에서는 급격한 영업점 폐쇄에 제동을 거는 한편 업권 공동의 노력을 강조했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이날 ‘금융접근성 제고를 위한 금융권 공감의 장’ 환영사에서 “금융업계가 소비자들의 금융서비스 접근권을 보장하는 책무를 충분히 고민했는지 돌아볼 필요가 있다”며 “은행 점포폐쇄 관련 공동절차를 본래 취지에 맞게 충실히 이행하고 공동 점포·이동 점포와 같은 다양한 대체수단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금감원은 연내 은행권과 TF를 구성해 금융접근성 제고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점포 대체수단 설치 협의절차와 비용 분담원칙에 관한 은행권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 것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AI점포 등 은행권 점포 운영전략 다변화를 위해 필요한 규제 샌드박스 등 제도적 지원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