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가 제시한 군구조 분야 개혁 추진 과제는 △북핵 대응을 위한 미래합동작전개념 정립 △작전개념 구현을 위한 부대구조 개편 △개념과 소요에 기반한 전력구조 개편 △한국군 주도의 연합 합동지휘구조 개편 △병역자원 및 부대구조를 고려한 병력구조 개편 등입니다.
이중 상비병력 50만명으로 감축과 비전투분야 민간인력 활용 확대 등은 결정됐지만, 작전개념 정립과 이에 따른 군 구조 개편 및 소요전력 확보 방안은 아직도 검토 중이라고 합니다. 확정·발표된 국방개혁 2.0 내용이 과거 노무현 정부 당시 마련했던 ‘국방개혁 2020’과 큰 차이 없이 업데이트 수준인 점을 고려하면 사실상 ‘개혁’이 아닌 ‘개선’이라는 평가가 나옵니다. 실제로 국방개혁 2.0 과제를 총괄하고 있는 국방부 고위관계자 역시 이같은 지적을 부인하지 않았습니다.
|
하지만 올해들어 남북 및 북미관계 개선 움직임이 가시화 되고, 북한 비핵화와 종전선언이 추진되면서 송 장관이 강조한 새로운 작전수행개념을 강조할 수 없는 상황이 됐습니다. 이에 따라 문재인 정부 국방개혁 2.0의 핵심인 군구조 분야 대부분의 과제들이 사실상 길을 잃은 모양새입니다. 핵·미사일 등 대량살상무기(WMD) 대응 3축체계 개념 발전과 미래합동작전개념 정립, 입체기동부대 창설, 전략사령부 창설 등의 추진과제들은 오리무중입니다.
이에 더해 국군기무사령부의 세월호 민간 사찰 의혹과 촛불정국 당시 계엄 검토 문건 작성 등에 대한 수사로 개혁 작업이 늦어지면서, 국방부 직할부대를 의미하는 국직부대와 직할기관, 합동부대, 책임운영기관 등에 대한 개편 논의도 진전되지 않고 있는 상황입니다.
국방부가 직접 관할하는 국직부대와 기관은 총 27개에 달합니다. 육·해·공군 소속이 아닌, 부대 이름 앞에 ‘국군’이나 ‘국방’이 붙어있는 조직들입니다. 국방정보본부·국군기무사령부·국군의무사령부·국군체육부대·국방부근무지원단·계룡대근무지원단·국방부군비통제검증단·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국방시설본부·국방부조사본부·국군복지단·국군사이버사령부·합동군사대학교·국군재정관리단·국방전비태세검열단·국방정신전력원 등 16개가 국직부대입니다. 또 국군간호사관학교·국방대학교·고등군사법원·국방부검찰단·국방부유해발굴감식단 등 5개 부대는 국방부 직할기관입니다. 국군지휘통신사령부·국군수송사령부·국군심리전단·국군화생방방호사령부 등 합동부대도 있습니다. 국군인쇄창과 국방통합데이터센터는 국방부 책임운영기관입니다.
|
사실 국직부대 문제는 소수 병력에 장군 지휘관을 배치해 야전부대와의 형평성 문제와 자리 보신용이라는 비판을 받아왔습니다. 개혁의 필요성에 대해선 누구나 공감한다는 얘기입니다. 하지만 장관 취임 1년이 지나도록 개혁안도 확정하지 못한 상태라 국방개혁의 취지가 무색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옵니다. 각 부대와 기관들이 조직 논리를 내세우며 맞서고 있기 때문입니다. 송 장관의 거취 문제가 거론되고 있는 상황이라 시간이 지날수록 국방부가 각 기관과 부대들의 이익 논리를 극복하기 어려워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