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규 바이오협회 부회장 “오미크론 대응하려면 범국가차원 지원 필요”

김유림 기자I 2021.12.14 09:19:25

백신과 치료제 통합 예산 5265억원에 불과
개발사 수십곳 나누면 지원금 턱없이 부족
매출 0원 모더나, 미국 정부 12조 전폭 지원
바이오 불모지에서 자력으로 성장한 셀트리온
제2 셀트리온 나오려면 정부 지원 필요하다
글로벌 스탠다드 부합하지 않는 규제 혁신

[이데일리 김유림 기자] “우리 정부도 내년 백신·치료제 개발에 5265억원 예산을 투입한다는 계획이 있지만, 현실은 선진국과 비교하면 부족한 규모다.”

이승규 한국바이오협회 부회장 (사진=한국바이오협회)
13일 이승규 한국바이오협회 부회장은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코로나19 팬데믹이 2년이 넘어가고 있다. 아직 한국은 국산 백신이 없다. 백신 주권 확립이 지연되고 있는 사이 코로나19 강력 변이 오미크론이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를 덮치면서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가 급증하고 있다. 일일 확진자 7000명대를 넘나들며 역대 최다치를 기록하고 있으며, 중증환자 병상 가동률은 90%를 넘겼다.

이 부회장은 “미국, 영국, 독일 등 선진국은 기업이 기존에 갖고 있던 연구에 기반한 기술력에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가 더해져 백신 개발이라는 성과가 나왔다. 결국 지속적이고 과감한 투자가 성과를 만들 수 있었다”며 “변이가 출현하고 있고 앞으로 또 다른 팬데믹이 닥칠 수 있는 상황에 대비하려면 기업에 대한 범국가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국내 바이오텍 중에서 가장 코로나19 백신 개발 속도가 빠른 곳은 SK바이오사이언스(302440)다. 합성항원 플랫폼을 적용한 SK바이오사이언스 GBP510은 현재 아스트라제네카 백신과 비교 임상 방식으로 임상 3상을 진행 중이다. 품목허가 예상 시기는 내년 상반기다. 이밖에 임상 1~2상에 착수한 백신 개발 회사는 셀리드(299660), 유바이오로직스(206650), 진원생명과학(011000), 제넥신(095700) 등이 있다. 하지만 정부의 내년 백신, 치료제 개발에 투입되는 예산은 5265억원에 불과하다. 10여 곳의 치료제 개발사까지 예산을 나누면 백신 개발사에 돌아가는 지원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 부회장은 “산업부가 최근 오미크론 변이 확산 상황에서 백신·치료제 개발을 위한 적극적인 역할을 주문하고, 정부도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언급을 한 바 있다”며 “다만 우리 정부의 지원금액은 제약선진국에 비해 총량면에서 많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신약개발을 통한 제약 선진국으로의 진입은 많은 도전과 실패를 반복하면서 성공확률을 높이는 과정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정부의 지속적이고 전략적인 투자가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2019년까지 의약품 판매로 단 1달러의 매출도 없었던 모더나는 전 세계 코로나19 백신 시장을 좌지우지하고 있다. 내년 초 오미크론 변이 대응이 가능한 새 mRNA 백신 제조가 가능하다고 자신한다. 미국 모더나의 성공 배경에는 자국 정부의 초고속 작전(Operation Warp Speed)이라는 전폭적인 지원이 있었다. 미국 정부는 코로나19 발생 이후 모더나 mRNA 백신 개발을 위해 임상시험 비용 10억 달러(약 1조1500억원), 3억 도즈(1회 접종분)의 백신을 공급하기로 하고 57억5000만 달러(약 6조6000억원)를 추가로 투입 등 총 100억 달러(12조원)를 지원했다. 자금뿐만 아니라 미국식품의약국(FDA)에서 총대를 메고 모더나 코로나19 백신의 긴급사용승인을 내줬다. 화이자에 이어 두 번째 코로나19 백신의 탄생이었다.

한국에서는 작은 바이오텍이 글로벌 톱티어까지 올라선 회사로는 셀트리온(068270)이 대표적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와 SK바이오사이언스는 재계 순위 1위 삼성그룹, 3위 SK그룹의 전폭적인 자금 지원이 있었다. 창업 초창기 셀트리온은 싱가포르 국부펀드 테마섹으로부터 끌어온 투자금으로 바이오시밀러 연구를 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 정부의 지원, 세계 3대 연기금인 국민연금의 투자는 없었다.

업계는 제2 셀트리온, 한국판 모더나 탄생은 바이오텍 자생으로 불가능하며, 정부의 지원 및 규제 혁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이 부회장은 “K바이오가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고 있지만, 아직 넘어야 할 산이 많다. 글로벌 시장에서의 국내 바이오의약품 시장 비중은 0.7%에 불과하다”며 “국내 바이오의약품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바이오시밀러 수출이 증가하고 있지만 이외 바이오의약품 수입도 늘어나는 추세다”고 말했다.

이어 “R&D 투자를 통한 기술력 제고가 우선돼야 한다. 기업으로서는 매출 대비 R&D 투자규모를 늘리는 데 매번 한계가 있다”며 “정부의 재정적, 제도적 지원이 뒷받침돼야 하며, 글로벌 스탠다드에 부합하지 않는 과도한 규제 및 각종 제도를 과감히 혁신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단순히 단기 임상연구 한가지를 위한 단기 지원이 아니라 기초연구 지원에서부터 상용화까지의 단계별 지속적 장기적 투자, 지원 모델을 만들어줘야 한다”며 “상용 가속화를 위한 임상 및 특허개발 에서도 정부의 전폭적인 지지가 생겨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한국바이오협회는 회원사를 비롯해 국내 바이오산업계를 위해 인력양성, 국내외 산업 트렌드 분석정보 제공, 해외진출 등을 지원하고 있다. 올해 초 국내 바이오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글로벌 밍글(Global Mingle) 이라는 국제 교류 프로그램을 출범했다. 다국적 제약사들과의 오픈이노베이션, 주한 대사관 및 투자청을 통한 해외 진출 컨설팅, 해외 투자자들에게 피칭할 수 있는 IR 행사 등을 개최했다. 바이오기업 애로사항을 청취해 대정부 정책 건의 활동도 활발히 하고 있다. 간담회, 규제사항 등 의견수렴 및 정책건의 추진, 바이오 민간투자 애로 지원단 홈페이지를 운영한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