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만, 화웨이가 어떤 협의를 받고 있는지, 법무부의 조사가 어느 정도 수준으로 진행됐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은 전했다. 그러나 월스트리트저널은 “미국 상무부와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의 화웨이에 대한 행정 소환장이 뒤따를 수 있다”고 썼다.
미 정부와 의회에선 중국 IT기업들에 대한 우려와 견제의 목소리가 크다. 앞서 중앙정보국(CIA)·연방수사국(FBI)·국가안보국(NSA)·국방정보국(DIA) 등 미국 정보기관 고위 관계자들은 지난 2월 미 상원 정보위 청문회에서 출석한 자리에서 화웨이·ZTE 제품을 쓰지 말 것을 촉구했다. 미 정부도 그간 화웨이 스마트폰 등이 자국 정보수집에 이용될 가능성을 우려, 화웨이가 보유한 기술을 연방기관이 사들일 수 없도록 차단했다. 미 의회도 2012년 화웨이·ZTE에 대해 ‘의심의 여지가 있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발표했고, 2013년엔 일부 연방기관들의 승인 없이 두 기업으로부터 기술을 도입할 수 없도록 하는 법안을 가결했다.
최근엔 톰 코튼 상원의원(공화·아칸소)이 화웨이·ZTE 제품을 사용하는 기업과 연방정부가 계약을 체결할 수 없도록 하는 법안을 내놨다. 미국 1, 2위 이동통신사인 버라이존·AT&T와 미 최대 가전제품 소매업체인 베스트바이 등이 화웨이와 제휴 계획을 잇달아 포기한 배경이다. 더 나아가 미 연방통신위원회(FCC)는 지난 17일 미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되는 외국기업을 대상으로 연방 보조금 지원을 차단하는 방안을 시행했다. 이와 관련, 로이터통신은 “사실상 중국 기업들을 표적으로 삼은 것”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