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급한 불은 껐지만…언젠간 터질 개성공단 입주사 `손실폭탄`

김도년 기자I 2016.03.06 12:12:00

영구적 가동중단 확정땐 개별회사 상황 따라 손실 반영
"유동성 부족 아닌 근본적 자산손상…대출지원만으론 생존 못해"

[이데일리 김도년 기자] 개성공단에서 남성 정장과 교복을 만드는 A업체는 개성에 있는 공장내 생산시설을 늘리기 위해 64억원에 이르는 자금을 투자했다. 지난 2014년말 기준 총자산 184억원의 약 3분의 1이 개성공장 지분으로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이번 개성공단 가동 중단 사태로 개성공장을 사용할 수 없게 됐으니 투자금 64억원은 사실상 허공에 날린 돈이나 다름 없어졌다.

이 같은 자산 손실을 당장 재무제표에 반영하지 않도록 금융당국이 회계처리 지침을 마련키로 했지만, 입주기업들은 언젠가는 이 손실을 반영할 수 밖에 없다. 기계장치와 같은 유형자산은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고 세워두면 기계의 기능이 예전만 못하기 때문에 일정 부분 손상이 발생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게다가 지금으로선 남북한이 극적으로 분위기를 전환시켜 개성공단을 재가동하거나 북측으로부터 자산을 돌려받을 수 있는 가능성도 희박하기 때문에 대규모 유형자산과 재고자산 손실을 언젠가는 재무제표상에 반영하는 게 불가피하다.

이에 대해 금융당국은 해당 기업이 사태의 추이를 지켜보면서 개별 기업에서 발생하는 자산손실을 추후에 스스로 반영해야 할 것이라고만 설명하고 있다. 당장 2015년 결산 재무제표와 올해 1분기 재무제표에선 재무제표 주석에만 예상 손실액을 기록한 뒤 이후부터는 개별 기업에서 실제로 손실이 발생하는 정도를 살펴야 한다는 것이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자산손실의 정도와 규모는 회사마다 모두 다르기 때문에 손실규모를 정확히 계산할 수 있게 되면 기업별로 반영해야 할 것”이라며 설명했다. 갑작스럽게 대규모 손실을 반영하게 되는 `회계절벽` 현상은 막았지만 위험 자체는 사라진 것이 아니며 계속 잠복해 있다고 볼 수 있다.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은 일시적인 유동성 부족이 아니라 근본적인 자산 손상이 발생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최근 정부가 내놓고 있는 대출금 만기연장, 추가 대출 지원 등 대출 지원만으로는 기업의 생존을 장담할 수 없다는 게 회계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한 시중은행 재무담당 임원은 “개성공단 입주기업 가운데 개성에 대부분의 생산설비가 있는 기업들은 추가 대출을 한다고 해도 이를 갚을 수 있는 능력이 사실상 상실됐다고 봐야 한다”며 “시중은행 입장에선 대출해주는 족족 손실로 반영하게 되므로 정부가 보증해주지 않는 이상 추가 대출을 해주긴 어려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른 회계 전문가는 “미래 현금흐름을 창출한 생산수단, 즉 유형자산을 북측에 빼앗긴 기업에 대출해준들, 감당할 수 없는 부채만 떠안게 된다”며 “언 발에 오줌 누기 식 대출 지원을 넘어 생산설비를 다시 복원할 수 있도록 해줘야 최소한 생존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 관련기사 ◀
☞ [단독]개성공단 입주사, 자산손실 곧바로 반영 안 한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