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와 함께 3대 신용평가사인 무디스와 피치는 지난 2015년4월, 2012년9월에 각각 한국의 신용등급을 ‘AA-’로 올렸다. 하지만 유독 S&P만 한국의 경제 점수를 짜게 줬다. 북한 관련 지정학적 리스크를 상당히 중요하게 보는 점 등이 영향을 미친 탓이다.
최 부총리는 “남북관계가 문제가 있다고 해서 표가 나도록 리스크가 있는 게 무엇이냐”며 “국가 신용등급을 매길 때 칼같이 까다로운 태도를 보여 ‘가위손’이라는 불리는 모리츠 크래머 S&P 국가신용등급 글로벌 총괄과 세차례나 만나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지표가 이렇게 달라졌는데 (신용등급) 회복 안 시켜주는 건 안 되는 거 아니냐고 설명했다”고 일화를 소개했다.
이어 그는 “남북 고위급 회의 등을 통한 남북합의와 4대부문 구조개혁 등도 상향 조정에 영향을 줬을 것”이라며 “올해 가계부채 구조의 건전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으로 시행한 안심전환대출 등을 비롯해 국제신용평가 업체들이 한국 정부의 공기업 부채 감축도 상당히 높게 평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같은 한국 정부의 노력에 비해 야당에서 지나치게 공격하는 점에 대한 아쉬움도 토로했다. 홍종학 새정치민주연합 의원 및 같은 당 박영선 의원은 국정감사에서 “최 부총리 취임 이후 한국 경제가 파탄났다”며 맹공격을 퍼부었다.
최 부총리는 “(국제 신용평가사의 신용등급 상향에도 불구) 경제가 망한다고 많이 공격을 하는 데 정신적으로 조금 피곤하다. 다 지나가는 바람이고 정치인은 얻어맞으면서 크는 거다”라면서도 “다만 자만하겠다는 것은 아니지만, 국민에게 불안감이 아니라 자신감을 좀 더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부총리는 미국이 기준금리 인상 시기를 미룬 것에 대해선 “(미국 금리 인상이) 설령 올해 시작된다고 하더라도 굉장히 점진적으로 갈 수밖에 없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