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세미나는 경제, 산업, 전력 3개 부문에 걸쳐 2030년 NDC(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상향이 지니는 문제점과 부작용을 검토하는 자리다. 제안된 현재의 상향한에 대해 한국 경제와 산업의 현실과 동떨어진 목표 설정이며 전력 부문에 엄청나 비용을 유발하고 실현 가능성이 떨어지는 방안이라고 참석자들은 전했다.
첫 번째 주제 발표인 박호정 고려대 교수는 “한국의 NDC 목표 상향 조정은 2018년 기준이기에 다른 어느 나라보다도 2030년 NDC 목표 달성에 주어진 시간이 짧다. 2030년을 목표로 하는 NDC 목표 상향 조정은 2050년의 탄소중립 정책과는 달리 미래기술이 아니라, 현존하는 기술에 바탕하여 수립되어야 하며, 이에 따른 적절한 영향평가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두번째 발표를 맡은 정은미 산업연구원 박사는 “제조업 비중이 높은 산업구조의 특성상 산업부문은 2050 L자기 저탄소 발전 전략(LEDS) 탄소중립을 위해서는 공정혁신과 설비교체라는 거대한 도전에 직면한 상황”이라며 “2030 NDC에 대해서는 다른 국가들에 비해 차이를 고려하여 유연한 대응이 필요하다. “탄소중립이라는 비전이 실현 가능하면서도 구체적인 달성경로를 수립하여 산업전환과 재흥전략으로 추진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마지막 발표를 진행한 손양훈 인천대 교수는 “NDC는 불가역적인 특성을 갖고 있어 미래의 우리 에너지 정책은 극도로 좁은 선택지를 가지며 유연성이 심각하게 구속될 것으로 본다. NDC안은 무려 160GW의 설비를 증설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불과 8년 후의 전원설비에 이런 계획을 하는 것은 엄청난 비용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가능한 범위 밖의 정책”이라며 “9차 계획에서 폐로하기로 한 원자력 발전소의 수명 연장을 개시하는 방법 밖에 다른 대안이 없다. 2030년까지 폐로 예정설비는 총 10기이며 8.45GW이다. 원전의 이용률을 80%로 가정하면 온실가스 배출량 기준을 상당 폭 감축할 수 있는 여력을 제공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