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북한 개발 등에 나설 때에는 남한 공공이나 민간이 투자 주체가 될 것이라는 예상이다. 채상욱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18일 “북한의 토지는 모두 국가소유라 개발을 원하는 사업 주체는 토지임대료를 북한 측에 제공해야 한다”며 “개성공단 1단계 시범사업에서 한국 측 파트너(현대아산+LH)는 일정액의 사용료를 지불하고 50년 임대했다”고 분석했다.
임차료를 냈더라도 미개발 상태의 나대지이므로 토지정비사업을 진행해야 하고 당시 LH는 3.3㎡당 약 70만원의 공사비 총 7000억원을 들여 정돈된 공단부지 330만㎡를 확보했다. 해당 공장용지를 남한 경제에 분양할 때는 원가 미만인 3.3㎡당 14만9000원에 공급했다.
향후 개성공단 잔여 2310만㎡, 개성시가지 총 3960만㎡ 확장공사나 신의주·황금평위화도·나선 등 북한의 중앙급 경제 특구에서도 비슷한 방식이 적용될 전망이다. 그는 “건설업은 발주처가 남한기업·공공이므로 가장 안정적 발주처라 수혜가 예상된다”며 “조성된 토지를 분양 받는 민간기업이라면 원가 이하 분양으로 수혜”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토지임대료를 내고 개발해야 할 주체라면 상당한 수준의 매몰비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경협은 근본적으로 자금처에 상관없이 건설에 수혜라는 평가다. 채 연구원은 “북한의 공단 등 토지조성사업에는 LH 등 남한 공기업의 역할이 중시된다”며 “LH의 부담을 덜어 줄 도시개발 디벨로퍼 HDC현대산업개발(294870), 태영건설(009410)의 성장이 필요한 시기”라고 말했다.